수정체유화술시 전방에 이용되는 1% Lidocaine이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수정체유화술에 의한 백내장 수술시 각막내피세포는 손상을 받는다.본 연구에서는 마취의 방법으로 전방에 이용되는 1%lidocaine 이 각막내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환자는 3 8명,50안이었고 모든 경우에 수정체유화술후 후방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하였다.이중 25안에서는 마취의 방법으로 점안마취와 함께 전방내에 0.4cc 정도의 1% lidocaine을 주입하였으며, 25안에서는 점안만으로 마취를 시행하였다. 각막내피세포의 밀도측정은 수술전과 수술후 1일,1주,1개월 그리고 2개월째에 시행하였다. 수술전에 시행한...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0; no. 5; pp. 1223 - 1227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5.199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수정체유화술에 의한 백내장 수술시 각막내피세포는 손상을 받는다.본 연구에서는 마취의 방법으로 전방에 이용되는 1%lidocaine 이 각막내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환자는 3 8명,50안이었고 모든 경우에 수정체유화술후 후방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하였다.이중 25안에서는 마취의 방법으로 점안마취와 함께 전방내에 0.4cc 정도의 1% lidocaine을 주입하였으며, 25안에서는 점안만으로 마취를 시행하였다. 각막내피세포의 밀도측정은 수술전과 수술후 1일,1주,1개월 그리고 2개월째에 시행하였다. 수술전에 시행한 각막내피세포의 밀도는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또한 수술후 1일,1주,1개월,2개월째에 시행한 각막내피세포의 밀도는 lidocaine을 사용한 군에서는 수술전에 비하여 7.6%,9.2%,10.4%,10.6%의 감소를 보였으며,lidocaine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7.4%,9.4%,9.9%,11.7%의 감소를 보여 두 군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 >0.1). 이로 보아 백내장 수술시 마취를 위해 전방에 이용되는 lidocaine은 각막의 내피세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안지 40:1223~1227,1999).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ntraocular 1% lidocaine as an adjunct to topical
anesthesia on corneal endothelial cell during phacoemulcification. We evaluated 38 patients(50 eyes).All patients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and PCL implantaion. Twenty five eyes were used intraocular 1% lidocaine and topical anesthesia and others used only topical anesthesia. Endothelial cell density was examind preoperatively,and at 1 day,1 week, 1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by specular microscopy. The difference of preoperative endothelial cell density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lidocaine-used group,the average endothelial cell loss was 7.6%,9.2%,10.4%,10.6%at 1 day,1 week,1 and 2 months. In non used group,the average endothelial cell loss was 7.4%,9.4%,9.9%,11.7%at 1 day,1 week,1 and 2 months.The difference of postoperative
endothelial cell density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From these results,we conclude that the intraocular lidocaine infusion for anesthesia had little effect on the corneal endothelial cell loss(J Korean Ophthalmol Soc 40:1223~1227,1999).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