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공성망막박리에 대한 공막두르기의 치료효과

열공성망막박리 41예를 공막두르기로 치료하였다. 원인질환으로는 열공을 찾지 못한 경우(10눈),고도근시(8눈),인공수정체 및 무수정체(8눈),거대열공(8눈)그리고 산재한 열공을 가진 경우(7눈)였다.4 1눈 중 33눈(80.5%)에서 일차적 공막두르기로 망막이 재유착되었다. 해부학적 성공률을 원인별로 볼 때 거대열공,열공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경우와 고도근시에서는 85.7%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열공을 찾지 못한 경우(60.0%)와 인공수정체 및 무수정체눈(75.0%)에서는 재유착율이 저조하였다.해부학적으로 재유착을 보인 33눈 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0; no. 7; pp. 1918 - 1923
Main Authors 김부곤, Bu Gon Kim, 안병국, Byung Cook Ahn, 조남천, Nam Chun C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199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열공성망막박리 41예를 공막두르기로 치료하였다. 원인질환으로는 열공을 찾지 못한 경우(10눈),고도근시(8눈),인공수정체 및 무수정체(8눈),거대열공(8눈)그리고 산재한 열공을 가진 경우(7눈)였다.4 1눈 중 33눈(80.5%)에서 일차적 공막두르기로 망막이 재유착되었다. 해부학적 성공률을 원인별로 볼 때 거대열공,열공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경우와 고도근시에서는 85.7%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열공을 찾지 못한 경우(60.0%)와 인공수정체 및 무수정체눈(75.0%)에서는 재유착율이 저조하였다.해부학적으로 재유착을 보인 33눈 중 27눈(81.8%)에서 기능적 성공을 보였다. 인공수정체 및 무수정체눈,열공이 산재한 경우,고도근시에서는 83.3%이상의 기능적 성공을 보인 반면,열공을 찾지 못한 경우(66.7%)와 거대열공(71.4%)에서는 기능적 성공률도 저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열공을 발견하지 못한 망막박리의 경우 공막두르기의 수술적응증은 되지만 유리체절제술 등의 다른 치료방법도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한안지 40:1918~1923,1999). We performed treat the 41 eyes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to scleral encircling.The causes of retinal detachment were unidentifiable breaks(10 eyes),high myopia(8 eyes),pseudophakia or aphakia(8 eyes), giant tear(8 eyes) and multiple holes(7 eyes).Overall the reattachment rate was 80.5%(33/41 eyes). The anatomic success rate was relatively high(85.7%)in eyes with giant tear,high myopia and multiple hole but relatively low in eyes with breaks unidentified(60%)or pseudophakic and aphakic retinal detachment(75%).Among those 33 eyes,functional success was achived in 27 eyes(81.8%).We achieved higher functional success rate in pseudophakia or aphakia,multiple hole and high myopia(over 83.3%) but low functional success rate in unidentifiable breaks(66.7%)and giant tear (71.4%). Our results suggest other treatments such as pars plana vitrectomy should be considered to treat eyes with retinal detachment of breaks unidentified,although scleral encircling has been used conventially (J Korean Ophthalmol Soc 40:1918~1923,1999).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