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안 백내장 수술 후 양안 안검열크기의 변화
백내장 수술이 상안검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한 40명 40안을 대상으로 수술안과 반대편 건안을 수술 전, 수술 후 1일, 1주, 4주, 8주 간격으로 안검열 크기, 상안검거근 기능 등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평균 안검열 크기는 수술안 및 건안 모두 감소했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안검열 크기의 저하는 양안 모두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수술과 직접 관련없는 인자가 양안에 관여한다고 생각되어지면 특히 수술 후 초기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9; no. 9; pp. 2057 - 206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9.199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백내장 수술이 상안검의 위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한 40명 40안을 대상으로 수술안과 반대편 건안을 수술 전, 수술 후 1일, 1주, 4주, 8주 간격으로 안검열 크기, 상안검거근 기능 등을 검사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평균 안검열 크기는 수술안 및 건안 모두 감소했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안검열 크기의 저하는 양안 모두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수술과 직접 관련없는 인자가 양안에 관여한다고 생각되어지면 특히 수술 후 초기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백내장 수술 후 안검하수를 진단할 시 수술 전과 후의 수술안뿐만 아니라 수술받지 않은 반대편 눈도 함께 검사해 서로 비교하여야 좀 더 정확한 안검의 위치변화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39:2057∼2063, 1998)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upper eyelid position after cataract operation, We studied 40 eyes of 40 patients prospectively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Levator function and vertical palpebral lid fissure height were measured preoperatively and at postoperative
day 1, 7, 28 and 56 in and the surgical and the fellow eyes. Postoperative mean vertical lid fissure height decreased compared with preoperative mean vertical lid fissure height in both eyes. The postoperative decrease in vertical lid fissure height tended to decrease with times and these trend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th eyes. This suggests that both eyes are affected by factors unassociated with the cataract surgery and it is most apparent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In conclusion, we recommend not only the surgical eye but the fellow eye should be evaluat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o understand the eyelid position after cataract operation(J Korean Ophthalmol Soc 39:2057∼2063, 1998)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