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 교정을 위한 투명수정체적출술의 결과

고도근시안의 교정을 목적으로 초음파유화술을 이용한 투명수정체적출술 및 후방 인공수정체삽 입술을 시행한 16명(남자: 9명, 여자: 7명, 평균연령: 39.3세) 26안을 대상으로 시력, 굴절력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시 또는 수술후의 합병증을 알아보았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4.7개월이었다. 주변부 망막변성으로 84.6%의 환자에서 수술전 아르곤 광응고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전 인공 수정체 도수산정은 SRK/T 공식을 이용하였다.나안시력은 전례에서 호전이 있었고 65.4%에서 20/40이상의 시력을, 23.1%에서는 20/25이상의 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1; no. 4; pp. 916 - 922
Main Authors 이현동, Hyun Dong Lee, 이동욱, Dong Wook Lee, 이영기, Young Ghee Lee, 김응권, Eung Kweo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4.200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고도근시안의 교정을 목적으로 초음파유화술을 이용한 투명수정체적출술 및 후방 인공수정체삽 입술을 시행한 16명(남자: 9명, 여자: 7명, 평균연령: 39.3세) 26안을 대상으로 시력, 굴절력 결과를 분석하고 수술시 또는 수술후의 합병증을 알아보았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4.7개월이었다. 주변부 망막변성으로 84.6%의 환자에서 수술전 아르곤 광응고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전 인공 수정체 도수산정은 SRK/T 공식을 이용하였다.나안시력은 전례에서 호전이 있었고 65.4%에서 20/40이상의 시력을, 23.1%에서는 20/25이상의 시력을 보였다. 최대교정시력도 전례에서 호전이 있었고, 20/40이상의 최대교정시력은 수술전 69.2%에서 수술후 100%로 증가하였고 20/25이상의 최대교정시력은 수술전 3.8%에서 수술후 80.8%로 증가하였다. 수술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15.85D (-10.25에서 -23D )이었고 수술후 50%에서 목표치에 대한 1디옵터이내의 굴절오차를 보였으며 100%에서 2디옵터 이내의 굴절오차를 보였다. 수술 중 특별한 합병증 발생은 없었으며, 추적관찰기간중 42.3%에서 경도의 후낭혼탁이 생겼고 이중 1안(3.8%)에서는 수술후 22개월에 YAG 레이저 후낭절개술을 시행하였다. 망막파열, 망막박리, 낭포황반부종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투명수정체적출술은 고도근시 교정에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되나 수술로 인한 합병증을 완전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추가 증례와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한안지 41:916~922,2000). We retrospectively studied 26 eyes of 16 patients(male : 9 patients, female: 7 patients, mean age: 39.3 years) who received clear lens extraction by phacoemulsification and low-power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lear lens extraction, visual acuity, refractive results, and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re analyzed. The mean follow-up was 14.7 months. For reasons of lattice degeneration, retinal tear, or hole, we performed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before clear lens extraction in 84.6% ofpatients. The IOL power was calculated using the SRK/T formula. Un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in all cases, with 65.4% of eyes achieving 20/40 or better and 23.1%, 20/25 or better. 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in all cases, the percentage of eyes achieving corrected visual acutiy of 20/40 or better increased from 69.2% preoperatively to 100% postoperatively and the percentage of 20/25 or better, from 3.8% to 80.8%. The mean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was -15.85D (-10.25 to -23D), 50% of eyes were within 1.0D of the goal diopter and 100% were within 2.0D of the goal diopter. No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During the follow-up, 42.3% of eyes developed mild 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and 1 eye(3.8%) received a YAG laser posterior capsulotomy 22 months postoperatively. No retinal tear, retinal detachment, or cystoid macular edema was observed. Clear lens extraction with low-power IOL implantation was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high myopia but additative cases and longer follow-up periods are needed to fully assess the complication(J Korean Ophthalmol Soc 41:916~922, 2000).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