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종류의 후낭 혼탁에서 ACV(Visual Capacity Analyzer)를 이용한 대비감도의 비교
목적 : 후낭혼탁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전과 후의 대비감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섬유형 후낭혼탁 9안과 진주형 후낭혼탁 26안을 대상으로 후낭절개술을 시행하기 전과 후 1주일에서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ACV를 이용하여 100 cd/m2, 30 cd/m2 조도에서 5개의 다른 공간주파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후낭절개술 전 최대교정시력을 기준으로 0.63 미만인 군(A 군)과 0.63 이상인 군(B 군)으로 나누어 섬유형과 진주형 후낭혼탁에 따라 대비감도를 비교하였다....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45; no. 6; pp. 945 - 95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6.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목적 : 후낭혼탁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Nd:YAG 레이저 후낭절개술 전과 후의 대비감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섬유형 후낭혼탁 9안과 진주형 후낭혼탁 26안을 대상으로 후낭절개술을 시행하기 전과 후 1주일에서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대비감도는 ACV를 이용하여 100 cd/m2, 30 cd/m2 조도에서 5개의 다른 공간주파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후낭절개술 전 최대교정시력을 기준으로 0.63 미만인 군(A 군)과 0.63 이상인 군(B 군)으로 나누어 섬유형과 진주형 후낭혼탁에 따라 대비감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후낭혼탁으로 인한 시력과 대비감도 손실은 후낭절개술 후에 개선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후낭혼탁의 진행정도나 타입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그러나 A 군은 낮 조건에서의 대비감도는 19 cpd를 제외하고 모든 공간 주파수에서 진주형 후낭혼탁이 섬유형 후낭혼탁에 비해 감소되었다(p<0.05). 밤 조건에서는 교정시력의 차이에 관계없이 섬유형과 진주형 후낭혼탁에 의한 대비감도의 감소는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 낮 조건에서 후낭혼탁이 진행된 경우에는 진주형 후낭혼탁이 섬유형 후낭혼탁보다 대비감도의 저하가 심하였다.
<한안지 45(6):945-951, 2004>
Purpose: To compare contrast sensitivity (CS) in type and degree of posterior capsule opacification (PCO) in pseudophakic eyes before and after neodymium:YAG capsulotomy. Methods: Nine eyes with fibrosis-type PCO and 26 with Elschnig-pearl type PCO were examined fo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S before and 1 week after capsulotomy. CS was tested with visual capacity analyzer (ACV) which uses a Landolt ring of 5 different spatial frequencies (SF)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of day (100cd/m2) and night (30cd/m2).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BCVA before capsulotomy: Group A, 4 eyes and 18 eyes with below 0.63 in fibrosis-type and pearls-type PCO, respectively; Group B, 5 eyes and 8 eyes with above 0.63 in fibrosis-type and pearls-type PCO, respectively. Results: The patients with PCO had worse BCVA and CS, but these were improved by Nd:YAG capsulotomy. This was not affected by the types and degrees of PCO. In the daytime condition, CS of B group was worse at all SF in patients with pearl-type PCO than in those with fibrosis-type PCO before capsulotomy, except 19 cpd (p<0.05). In the nighttime condition, CS i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at all SF (p>0.05). Conclusions: In the daytime condition, the patients with pearls-type PCO of relatively poor BCVA had lower CS than those with fibrosis-type PCO. J Korean Ophthalmol Soc 45(6):945-951, 2004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