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내시경적 누낭비강문합술의 임상적 고찰
만성누낭염의 치료방법으로 초기에는 피부절개를 통해 누낭으로 접근하는 수술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 비내시경의 발달로 인하여 비벽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비내시경을 이용한 누낭비강문합술의 수술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5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안과에서 비내시경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을 시행받은 19명(20례)을 대상으로 수술 후 3-21.5개월(평균 12.2개월)의 추적 관찰을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술전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비강내 검사를 시행받았으며,...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38; no. 10; pp. 1706 - 171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10.199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
Cover
Summary: | 만성누낭염의 치료방법으로 초기에는 피부절개를 통해 누낭으로 접근하는 수술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 비내시경의 발달로 인하여 비벽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비내시경을 이용한 누낭비강문합술의 수술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5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안과에서 비내시경을 통한 누낭비강문합술을 시행받은 19명(20례)을 대상으로 수술 후 3-21.5개월(평균 12.2개월)의 추적 관찰을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술전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비강내 검사를 시행받았으며, 11명의 환자에서는 누낭비강문합술과 동시에 비강내 질환(부비동염, 비중격편위, 중비갑개비대)의 수술을 받았
다. 비내시경을 이용한 누낭비강문합술의 일차 성공율은 80%(16/20)였으며, 합병증으로 술후3개월에 4명의 환자에서 육아종의 발생이 있었고, 비출혈이나 안검주위의 부종은 술후 1일 이내에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내시경을 이용한 누낭비강문합술은 누도폐쇄환자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서 수술전후의 보다 정확한 비강내 검사와 적절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수술결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한안지 38:1706~1711, 1997).
We histopathologically analysed 221 consecutive cases of lid(97 cases ) and orbital(124 cases) tumors from 1992 through 1996 to investigate types and incidence of tumors. In cases of eyelid tumor, cystic tumors accounted for 32 cases (33.0%), basal cell carcinomas 15 cases, nevus 11 cases, sebaceous gland carcinomas 10 cases, cavernous hemangiomas 9 cases, squamous cell carcinomas 8 cases, papilloma 6 cases, pseudotumors 3 cases and lipoma 3 cases. The most common tumors were basal cell carcinoma(24.6%) in adults and cystic tumors(64.4%) in children.
In cases of orbital tumor, cystic tumors were the most frequent type of lesions, responsible for 22 of the 124 cases, followed by secondary tumor 16 cases, lacrymal lesions 15 cases, pseudotumors 15 cases, lymphomas 15 cases, hemangioma 11 cases, lipoma 10 cases, peripheral nerve tumors 6
cases, optic nerve gliomas and meningiomas 5 cases, fibromas 5 cases and rhabdomyosarcomas 4 cases. The most common tumors were lacrimal tumors(17.3%) in adults and cystic tumors(50.0%) in children(J Korean Ophthalmol Soc 38:1700~1705, 1997). |
---|---|
Bibliography: |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