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학대 실태 분석 및 재학대 대응 방안 - 경기도 S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노인학대 실태를 파악하고, 학대 유형, 빈도, 발생률 및 피해자 및 학대행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대 지속기간과 재학대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경기 S 노인보호전문기관 학대사례 중 1,239건을 재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통해 노인부부 가구, 피해노인의 치매진단 여부, 피해노인의 재학대 예방교육 미이수가학대의 지속기간을 길게 만드는 주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항 로직스틱 회귀분석결과, 재학대 예방교육을 이수하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노년교육연구 Vol. 10; no. 2; pp. 154 - 173
Main Authors 이현주(Hyun Joo Lee), 모아라(A-Ra M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노년교육학회 30.11.2024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Gerontolog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2504
DOI10.31748/KSEG.2024.10.2.15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노인학대 실태를 파악하고, 학대 유형, 빈도, 발생률 및 피해자 및 학대행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학대 지속기간과 재학대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경기 S 노인보호전문기관 학대사례 중 1,239건을 재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통해 노인부부 가구, 피해노인의 치매진단 여부, 피해노인의 재학대 예방교육 미이수가학대의 지속기간을 길게 만드는 주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항 로직스틱 회귀분석결과, 재학대 예방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피해노인의 경우 교육을 이수한 피해노인에 비해 재학대 신고율이 2.49배 더 높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학대 예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노인부부 가구에 대한 맞춤형 돌봄서비스와 치매 돌봄 시스템 구축을 강화하고, 피해노인과 학대행위자 모두에게 지속적인 노인학대 예방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재학대 예방에 효과적인 대응 방안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 및 실천 방안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elder abuse and analyze the types, frequency, incidence rat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abuse and the likelihood of re-reporting abuse. To this end, 1,239 cases of elder abuse reported to the Gyeonggi S Senior Protection Agency from 2019 to 2023 were reanalyzed.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reveal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at certain factor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xtended duration of abuse. These factors include cases involving elderly couples, a dementia diagnosis in the victim, and the victim's lack of completion in preventive education for re-abuse. Furthermor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ictims who had not completed preventive education for re-abuse had a 2.49 times higher likelihood of re-reporting abuse compared to those who had completed the training.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education on elder abus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strengthening tailored care services for elderly couples, establishing a robust dementia care system, and providing ongoing preventive education for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are effective measures to prevent re-abuse. Finally, policy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elder abuse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ISSN:2384-2504
DOI:10.31748/KSEG.2024.10.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