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란유해종'의 영향 평가: 환경 및 사회경제적 평가를 위한 준정량 도구 및 프로토콜
This study presents a new tool and protocol to assess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MIHS) on marine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aspects. It addresses shortcomings in the Marine Ecosystem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 in South Korea by proposing an impact asses...
Saved in:
| Published in | Pada (Hanʼguk Haeyang Hakhoe) Vol. 29; no. 2; pp. 116 - 138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해양학회
01.05.202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2978 2671-8820 |
| DOI | 10.7850/jkso.2024.29.2.116 |
Cover
| Summary: | This study presents a new tool and protocol to assess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MIHS) on marine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aspects. It addresses shortcomings in the Marine Ecosystem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 in South Korea by proposing an impact assessment framework divided into marin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groups. Six distinct evaluation categories are included in each group, and a semi-quantitative five-step scale is utilized to provide a flexible approach, addressing a variety of issues from ecological disturbances to effects on health and property. The assessment tool is applied through a systematic five-stage process based on the Delphi method. This approach posters collaboration among a diverse sets of experts and stakeholders, enabl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ncorporates various perspectives. The study also examines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outcomes. The application of this assessment protocol is expected to be crucial in quantifying the ecological damage caused by MIHS and in identifying management and prevention priorities. The ultimate aim of this evaluation process is to aid decision-maker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preserve the marine ecosystem and mitigate socio-economic impacts. 본 연구는 '해양교란유해종'이 해양 환경과 사회경제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도구와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한국의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법에서 발견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양 환경과 사회경제 그룹(영역)으로 나누어진 영향 평가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였다. 각 그룹은 6개의 영향 평가 카테고리(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정량적인 5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생태계의 교란에서 건강과 재산에 대한 영향에 이르는 폭넓은 이슈들을 다루는 유연한 방식을 제공한다. 이 영향평가 도구의 실행은 델파이 방법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5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진행된다. 이 접근법은 다양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촉진하며, 다양한 관점을 통합하는 포괄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결과의 일관성을 향상시키는 전략도 모색되었다. 본 평가 프로토콜의 적용은 '해양교란유해종'에 의한 생태학적 피해의 정도를 계량화하고 관리 대상 및 예방 조치의 우선순위를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가 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결정자가 해양생태계 보전과 사회경제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416939204100 |
| ISSN: | 1226-2978 2671-8820 |
| DOI: | 10.7850/jkso.2024.29.2.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