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교양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변인연구

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업유형에 따른 다양한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는 수업의 효과성을 위해 폭넓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전반적인 온라인 비대면 수업 상황 안에서 15주 동안 한국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형식에 따라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변인별 상관관계,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Zoom vs. 동영상녹화)에 따른 한국 성인 학습자 의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등 학습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및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Vol. 16; no. 4; pp. 101 - 120
Main Author 김경회(Kim, Gyeongho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08.2022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대학 교양교육에서 수업유형에 따른 다양한 학습 변인들 간의 관계는 수업의 효과성을 위해 폭넓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전반적인 온라인 비대면 수업 상황 안에서 15주 동안 한국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형식에 따라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변인별 상관관계,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Zoom vs. 동영상녹화)에 따른 한국 성인 학습자 의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동기,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등 학습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및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설문을 통해 살펴봄으로서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에서 수업유형별 학습변인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교양 영어회화 수업의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관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연구 결과 1)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학업 성취도간에도 유의 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학업 성취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였다. 2) 실시간 Zoom수업과 비실시간 동영상 녹화수업 유형에 따른 결과는 수업 만족도를 제외한 상호작용(교수-학습자, 학습자간),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업만족도와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변인을 살펴본 결과,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예측변수는 없었으며, 학업성취도의 54.4%가 교수-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자발적인 출력과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온라인 영어 회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학습변인을 고려하여 온라인 교양 영어회화 수업의 교육효과를 최대로 이끄는 것이 제안되는 바이다. The influence between the diverse learning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ccording to class types should be studied extensivel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online general English classroom. Therefore, within the overall online non face-to-face class situ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for 15 weeks 80 Korea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d general English classes according to the non face-to-face class form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er interactions (student-to-student vs. student-to-instructor), thei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and their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lecture types (real-time Zoom classes vs. video-recorded classes). In addition, learning variables which can affect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By studying these variables, which have been insufficient so far, the intention was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online class operation for the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room.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instructor interactio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to-student interaction and their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Second, significantly different lecture types had an impact on student interactions,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but not on their level of satisfaction. Third,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course satisfaction, and student-to-instructor and student-to-student interac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54.4% of English speaking achievement is explained through student-to-instructor and studentto- student interactions. Therefore, lecturers should take into regard the students’ diverse learning related-variables, which can affect the online English speaking class, and try to enha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motivation, and interaction levels. By doing so, we hope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online English speaking classes. KCI Citation Count: 0
ISSN:1976-3212
271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