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단기간 효과와 안전성

목적: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간 효과와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2년 9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원발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된 29명 2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제제를 사용한 후 1개월, 3개월 후의 안압 하강 효과를 분석하고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치료 시작 시점의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4.46세였다. 치료 시작 전 기저 안압은 17.46 ± 4.03 mmHg였으며, 이는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제제 투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6; no. 2; pp. 114 - 119
Main Authors 손선명(Sun Myung Son), 김정림(Jung Lim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5.66.2.1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의 단기간 효과와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2년 9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원발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된 29명 2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제제를 사용한 후 1개월, 3개월 후의 안압 하강 효과를 분석하고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치료 시작 시점의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4.46세였다. 치료 시작 전 기저 안압은 17.46 ± 4.03 mmHg였으며, 이는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제제 투여 후 1개월(29안)과 3개월(28안) 후 각각 15.07 ± 4.23 mmHg (p=0.002), 14.93 ± 3.86 mmHg (p=0.00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개월 후 9명의 환자들이 결막 충혈(1안, 3.5%), 가려움(2안, 6.9%), 이물감(2안, 6.9%), 따가움(2안, 6.9%), 안구 통증(2안, 6.9%), 윗눈꺼풀 고랑 깊어짐(1안, 3.5%)을 각각 호소하였고 윗눈꺼풀 고랑 깊어짐을 호소한 환자는 안약을 중단하였다. 3개월 후 가려움을 호소하는 2안의 환자는 결막알레르기로 약물을 중단하였다. 결론: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틴부노드 0.024% 제제의 단기간 안압 하강 효과와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short-term efficacy and safety of latanoprostene bunod 0.024% in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2 to September 2023, involving 29 eyes from patients diagnosed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The study analyzed the intraocular pressure (IOP)-lowering effects of latanoprostene bunod 0.024% at 1 and 3 months after administration. Additionally, adverse events reported by patients at each visit were documented.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at the start of treatment was 64.46 years. The baseline IOP was 17.46 ± 4.03 mmHg, which significantly decreased to 15.07 ± 4.23 mmHg (p = 0.002) at 1 month (29 eyes) and 14.93 ± 3.86 mmHg (p = 0.002) at 3 months (28 eyes) after latanoprostene bunod administration. After 1 month, 9 patients reported adverse events, including conjunctival hyperemia (1 eye, 3.5%), itching (2 eyes, 6.9%), foreign body sensation (2 eyes, 6.9%), stinging (2 eyes, 6.9%), ocular pain (2 eyes, 6.9%), and deepening of the upper eyelid sulcus (1 eye, 3.5%). The patient who experienced deepening of the upper eyelid sulcus discontinued treatment. After 3 months, 2 eyes with itching discontinued treatment due to conjunctival allergy. Conclusions: Latanoprostene bunod 0.024% demonstrated short-term efficacy in reducing IOP and a manageable safety profile in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5.66.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