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태도 및 실천의 시나리오 검사 문항 타당화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실천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시나리오 기반으로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친숙한 수학 학습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별로 흥미, 자기효능감, 메타정의, 끈기, 도전, 갈등 조절, 협력 동기, 수학문화향유의 8가지 평가 요소에 대한 선다형 문항을 개발하고 문항의 선택지에 각 평가 요소에 대한 하위 요소를 대응시켰다. 그리고 세계 시민성의 평가 요소는 하나의 시나리오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CV...
Saved in:
Published in | 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33; no. 1; pp. 145 - 172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8.02.2023
대한수학교육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7733 2288-8357 |
DOI | 10.29275/jerm.2023.33.1.14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및 실천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문항을 시나리오 기반으로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친숙한 수학 학습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고, 각 시나리오별로 흥미, 자기효능감, 메타정의, 끈기, 도전, 갈등 조절, 협력 동기, 수학문화향유의 8가지 평가 요소에 대한 선다형 문항을 개발하고 문항의 선택지에 각 평가 요소에 대한 하위 요소를 대응시켰다. 그리고 세계 시민성의 평가 요소는 하나의 시나리오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CVR, CV, 합의도를 확보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이 연구진이 가정한 방식과 같은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나리오 검사를 온라인 상에서 시행하는 것과 관련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scenario-based assessment items to measur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practices, while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Familiar mathematical learning situations comprised scenarios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For each scenario, we created multiple-choice items to evaluate eight components: interest, self-efficacy, meta-affect, persistence, challenge, conflict resolution, cooperation motivation, and enjoyment of mathematical culture. Factors of the evaluation elements were matched with the choices of items. The global citizenship factor was evaluated in a single scenario. Moreover, the content validity ratio, content validity, and agreement rate were obtain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on the developed items. After the Delphi survey,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to confirm that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items aligned with the researchers’ assump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ke recommendations for online implementation of the scenario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8-7733 2288-8357 |
DOI: | 10.29275/jerm.2023.33.1.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