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및 과학 교과서에서 수학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이 제시되는 양상 분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및 과학 교과서에서 수학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이 다루어지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과 간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및 과학 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수학 개념이 활용되는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및 과학 교과서에서 활용되는 수학 개념은 대다수가 수학과에서 먼저 개념 학습이 이루어진 후 사회과나 과학과에서 활용되는 경우(연계)에 해당하였다. 하지만 좌표 개념, 음수 등과 같이 수...
Saved in:
Published in | Suhak gyoyukak yeon-gu (Online) Vol. 35; no. 1; pp. 83 - 115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8.02.2025
대한수학교육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7733 2288-8357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 및 과학 교과서에서 수학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이 다루어지는 양상을 분석하여 교과 간 학습 내용의 연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및 과학 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수학 개념이 활용되는 시기나 내용이 수학과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 및 과학 교과서에서 활용되는 수학 개념은 대다수가 수학과에서 먼저 개념 학습이 이루어진 후 사회과나 과학과에서 활용되는 경우(연계)에 해당하였다. 하지만 좌표 개념, 음수 등과 같이 수학과에서 학습하는 시기보다 사회 및 과학과에서 활용되는 시기가 빠른(역행) 개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학과에서 다루는 개념 정의와 다르게 용어를 사용하거나 수학과에서 다루는 수준보다 심화된 개념을 활용하는 경우(변형⋅심화)도 있었다. 이처럼 역행이나 변형 심화에 해당하는 개념들은 수학과가 타 교과 학습의 도구 교과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개념의 정의와 활용 범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교육과정이나 지도서에 교과 간 공통 학습 내용의 학습 시기 및 내용을 명시하며, 사회과 및 과학과 교과서 개발 시 수학 교과 전문가의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atterns in which mathematical content from the curriculum is addressed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and to identify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For this purpose, two types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timing and content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used align with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used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for grades 5~6 were first introduc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n applied in the other subjects (interconnection). However, there were cases (retrogression) where mathematical concepts such as coordinates and negative numbers were used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earlier than when they were taught in mathematics. Additionally, there were instances (modification-advanced) where terms that did not align with the definition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were used, or advanced concepts were applied. These retrogression or modification-advanced concepts can hinder the role of mathematics as a tool subject for other subject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efinitions and application scope of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specify the timing and content of common learning content across subjects in the curriculum or teachers’ guide, and conduct a systematic review by mathematics curriculum experts when developing social studies and science textbook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8-7733 2288-83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