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CT와 심근관류 CT 검사를 이용한 고농도 조영제와 저농도 조영제 간 비교 평가

최근 CT 기술의 발전으로 저관전압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농도 조영제의 임상적 유용성이 점차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환자의 혈역학적 분포와 심근의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관상동맥 CT(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검사와 역동적 심근관류 CT(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검사를 통하여 고농도와저농도 조영제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CTA의 조직과 혈관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 고농...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 26; no. 1; pp. 5 - 15
Main Author 차성진(Sung-Jin Cha), 고동희(Dong-Hee Ko), 전필현(Pil-Hyeon Jeon), 고성민(Sung-Min K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CT영상기술학회 30.03.2024
KOREA SOCIETY OF COMPUTED TOMOGRAPHIC TECHNOLOG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71-521X
2671-522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CT 기술의 발전으로 저관전압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농도 조영제의 임상적 유용성이 점차 입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환자의 혈역학적 분포와 심근의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관상동맥 CT(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검사와 역동적 심근관류 CT(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검사를 통하여 고농도와저농도 조영제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CTA의 조직과 혈관에 대한 정량적 분석에서 고농도 조영제가 5~10% HU가 높았지만,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나타났다. CCTA와 CT-MPI를 통한 심근 평가 결과 두 조영제 간 차이가 5% 이내였으며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은 다섯 가지 범주로 명목적인 측정을 하였고 저농도 조영제와 고농도 조영제 간의 유의확률 0.05 이상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을 밝혀내지 못했다. 본 연구는 고농도와 저농도 조영제를 CCTA와 CT-MPI 검사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졌다. CCTA와 CT-MPI를 통한 분석에서는 고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보다저농도의 영상이 열등하지 않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연구 대상자의 표본이 더 모이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계점을 극복한다면 CCTA와 CT-MPI에서 고농도 조영제를 사용하는 기존의 검사법에서 벗어나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ancement of CT technology, the use of low tube voltages,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are gradually being demonstra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us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and 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These imaging techniques can simultaneously evaluate the patient's hemodynamic distribution and myocardium.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issues and blood vessels in CCTA showed that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led to a 5 to 10% increase in Hounsfield Units (HU), but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greater than 0.05. As a result of myocardial evaluation using CCTA and CT-MPI,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trast agents was within 5%, and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was greater than 0.05. Qualitative analysis utilized nominal measurements in five categories and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 and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with a significance probability greater than 0.05. This study differed from existing studies by utilizing high- and low-concentration contrast media for CCTA and CT-MPI examinations. Analysis using CCTA and CT-MPI shows that low-concentration images are not inferior to images obtained using high-concentration contrast medi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31320/JKSCT.2024.26.1.5
ISSN:2671-521X
2671-5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