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공수정체 종류별 근거리 읽기 속도의 비교
목적: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체 종류에 따른 근거리 읽기 속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양안 Eyhance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 Panotpix 삼중초점인공수정체, Vivity EDoF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 중 술 후 3개월이 경과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글자 크기에 따른 읽기, 읽기-말하기 속도 및 일상생활에서 근거리 작업 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 군의 원거리교정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42). Pan...
Saved in:
Published in | 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3(3) pp. 107 - 113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검안학회
30.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919 2384-0927 |
DOI | 10.52725/aocl.2024.23.3.107 |
Cover
Summary: | 목적: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공수정체 종류에 따른 근거리 읽기 속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양안 Eyhance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 Panotpix 삼중초점인공수정체, Vivity EDoF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 중 술 후 3개월이 경과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글자 크기에 따른 읽기, 읽기-말하기 속도 및 일상생활에서 근거리 작업 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세 군의 원거리교정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42). Panopitx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근거리교정시력을 보였다(모두 p < 0.05). Panoptix군은 logMAR 0.5 이상의 글자 크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읽기, 읽기-말하기 속도를 보였다(모두 p < 0.05). Vivity군은 logMAR 0.8 이상의 글자 크기에서 Eyhance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읽기, 읽기-말하기 속도를 보였다. 일상생활에서 독서를 포함한 근거리 작업 시 만족도는 Panoptix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Panoptix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경우 다른 종류의 인공수정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근거리 시기능 및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compare near-distance reading speeds across different intraocular lens (IOL) types using a Korean reading speed measurement application.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cataract surgery and received trifocal IOL (Panoptix), extended depth of focus (EDoF) IOL (Vivity), or enhanced monofocal IOL (Eyhance) were enrolled. Korean reading speed and reading & speaking speed were measured using a Korean reading speed measurement application.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visual function in everyday lif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ostoperative 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among the three groups (p = 0.71). The Panoptix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distance-corrected near visual acuity than the other two groups (p < 0.05). For letter sizes of logMAR 0.5 or larger, the Panoptix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eading and reading & speaking speeds than the other two groups. For letter sizes of logMAR 0.8 or larger, the Viv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ading and reading & speaking speeds than the Eyhance group (p < 0.05). The Panoptix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satisfaction with visual function in work at near distances, including that for activities such as reading a book.
Conclu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384-0919 2384-0927 |
DOI: | 10.52725/aocl.2024.23.3.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