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모반 환자에서 레이저 치료 후 비대칭적으로 발생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병 1예

목적: 오타모반이 있는 환자에서 레이저 치료 후 인도시아닌그린안저혈관조영 소견 외에는 단안에 우세하게 증상이 나타난 보그트- 고야나기-하라다(Vogt-Koyanagi-Harada, VKH)병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3세 남자가 3주 전부터 시작된 우안 시력저하, 통증 및 두통으로 의뢰되었다. 환자는 우안 상/하안검 및 우측 광대부의오타모반에 대해, 2개월 전부터 1개월 간격으로 레이저 시술을 받았고, 특이 병력은 없었다.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우안다발성 장액망막박리가 관찰되었고, 인도시아닌그린안저혈관조영에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5; no. 3; pp. 251 - 256
Main Authors 양승안(Seung Ahn Yang), 박수환(Su Hwan Park), 김수진(Su Jin Kim), 이승민(Seung M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3.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4.65.3.2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오타모반이 있는 환자에서 레이저 치료 후 인도시아닌그린안저혈관조영 소견 외에는 단안에 우세하게 증상이 나타난 보그트- 고야나기-하라다(Vogt-Koyanagi-Harada, VKH)병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3세 남자가 3주 전부터 시작된 우안 시력저하, 통증 및 두통으로 의뢰되었다. 환자는 우안 상/하안검 및 우측 광대부의오타모반에 대해, 2개월 전부터 1개월 간격으로 레이저 시술을 받았고, 특이 병력은 없었다.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우안다발성 장액망막박리가 관찰되었고, 인도시아닌그린안저혈관조영에서 양안 다수의 저형광 반점이 확인되어, 우안에 우세하게 나타난VKH병으로 진단하였다. 인체조직적합항원에서는 DRB1*09과 DQB1*03 (DQ8) 대립유전자가 확인되었다.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 후경구 스테로이드로 전환하였고, 1개월 후 장액망막박리와 시력은 회복되었다. 이후 6개월 동안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오타모반이 있는 환자에서 이에 대한 레이저 치료 후, VKH병이 이환된 쪽에 비대칭적으로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단안 침범으로 보이더라도, 여러 검사를 통해 양안 침범 여부를 잘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Vogt-Koyanagi-Harada (VKH) disease exhibiting asymmetric symptoms, predominantly in the affected eye, aside from the bilateral findings noted in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ICG) in a patient who had undergone treatment for nevus of Ota. Case summary: A 33-year-old male presented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ocular pain in the right eye, and a 3-week history of headache. The patient had undergone two laser treatments at 1-month intervals to address a nevus of Ota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and the maxillary area of the right side. He had no notable medical history.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dicated multiple serous retinal detachments. ICG displayed multiple hyperfluorescent spots in both eyes. Given these finding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VKH disease, predominantly affecting the right eye. Human leukocyte antigen (HLA) testing revealed the presence of the HLA-DRB1*09 and HLA-DQB1*03 (DQ8) alleles. The patient initially received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therapy, later transitioning to oral steroids. After a month of treatment, the serous retinal detachments had resolved and his vision improved. No signs of recurrence were evident during a 6-month follow-up. Conclusions: VKH disease can manifest asymmetrically, especially in the eye affected after laser treatment for nevus of Ota. Despite potential monocular presentation, it is crucial to assess for binocular involvement through comprehensive examinations.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4.65.3.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