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이론에 기반한 자폐증 전시회 포스터 시각 요소 연구
자폐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폐 관련 정보와 자폐 아동이 제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시회는 대중의 이해와 지원을 촉진하는 중요한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감정 이론을 바탕으로 자폐증 전시회 포스터의 시각적 요소(색상, 형태, 레이아웃 등)가 관람객의 정서적 공감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국 미술관과 자폐증 자선단체가 주최한 8개의 전시회 포스터이다. 연구는 SD 시맨틱 분석을 통해 시각적 요소가 감정 전달의 세 가지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다중 회귀분석으로 주요 디자인...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디자인리서치 Vol. 9; no. 4; pp. 226 - 23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31.12.2024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2817 2671-8375 |
DOI | 10.46248/kidrs.2024.4.226 |
Cover
Summary: | 자폐증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폐 관련 정보와 자폐 아동이 제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시회는 대중의 이해와 지원을 촉진하는 중요한 교육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감정 이론을 바탕으로 자폐증 전시회 포스터의 시각적 요소(색상, 형태, 레이아웃 등)가 관람객의 정서적 공감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국 미술관과 자폐증 자선단체가 주최한 8개의 전시회 포스터이다. 연구는 SD 시맨틱 분석을 통해 시각적 요소가 감정 전달의 세 가지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다중 회귀분석으로 주요 디자인 요소를 검증했다. 결과적으로, 형태와 선은 관람 동기를 높이며, 색상은 감정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타이포그래피는 정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체 분위기는 정서적 공감을 유도하는 데 기여했다. 향후 자폐증 전시회 포스터 디자인은 시각적 요소의 통일성과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대중의 이해와 지원을 더욱 촉진해야 한다. With growing public interest in autism, exhibitions showcasing autism-related information and content created by individuals with autism have become significant educational platforms for fostering understanding and support. This study, based on emotion theory, explores how visual elements of autism exhibition posters—such as color, form, and layout—enhance visitors' emotional em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ight exhibition posters from art museums and autism charities in China. Using SD semantic analysis, the study quantifies the impact of visual elements on three levels of emotional communication and validates key design element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form and line increase viewing motivation, color significantly influences emotional experience, typography improves information delivery, and overall mood fosters emotional empathy. Future autism exhibition poster designs should focus on unifying visual elements, meeting emotional needs, and enhancing appeal and experience to further promote public understanding and suppor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508-2817 2671-8375 |
DOI: | 10.46248/kidrs.2024.4.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