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설문조사, 포커스 면접 조사,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내용 영역, 조직적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된 잠정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잠정 모형은 40명의 학교상담 현장 전문가인 전문상담교사 패널들의 1차,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 모형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구안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심리상담 및 모래놀이치료(구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 4; no. 1; pp. 11 - 24
Main Authors 유은정(Eun-Jung Yoo), 이종연(Jong-Yeu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30.06.2022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9395
2799-4481
DOI10.54084/SCS.2022.4.1.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설문조사, 포커스 면접 조사,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내용 영역, 조직적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된 잠정 모형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잠정 모형은 40명의 학교상담 현장 전문가인 전문상담교사 패널들의 1차,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 모형으로 확정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구안된 자유학기제에 활용 가능한 학교상담자용 학급단위 집단상담 모형은 총 3영역(내용 영역, 조직인인 틀 영역, 소요자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내용 영역으로 3개 영역(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 의사결정하기, 타인을 이해하고 사이좋게 지내기)으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조직적인 틀 영역으로 4개 영역(가용시간, 운영 회기 수, 자유학기제 중 적합한 모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소요자원 영역은 5개 영역(프로그램 운영자, 필요 역량, 역량개발 방법, 재정적 지원, 행정적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 학교상담자의 역할 정립과 학급단위 집단상담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o use the free-semester progra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conducted a survey,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n expert meeting to develop a proposed model, which consists of the content area, the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the required resource area. The proposed tentative model was confirmed as the final model by securing content validit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of panels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are 40 school counseling field expert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model for school counselors that can be used in the final proposed free semester system consisted of a total of three areas (content area, organizational frame area, and required resource area). The content area includes three sub-areas(understanding and accepting oneself, making a decision, understanding others and getting along well). The organizational framework includes four sub-areas(available time, number of operational sessions, a most suitable model among the free-semester models, and program operation). The required resource area includes five sub-areas (program operator, required capacity, capacity development method, financial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model for looking for a solution to establish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and to enhance their competency to manage class unit group counsel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2713-9395
2799-4481
DOI:10.54084/SCS.2022.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