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수 분석을 위한 유역 연계 물수지 분석 모델 개발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balance is a key component of water management policies for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However, accurately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usage remains challenging due to conventional water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lack of fundamental data. Cur...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8; no. 6; pp. 469 - 48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수자원학회
01.06.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99-8746 2799-8754 |
Cover
Summary: |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balance is a key component of water management policies for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However, accurately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usage remains challenging due to conventional water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lack of fundamental data. Currently, agricultural water is estimated through water balance analyses conducted as part of major national water management plans. However, these analyses have methodological and data limitation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issues. First, the agricultural water analysis in the First National Water Management Plan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water sources, such as reservoirs and river facilities, leading to an unrealistic represent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causing distortions in the estimation of water deficits and return flows. Second,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return flow rate results in inaccuracies in both supply and return flow estimations. Third, the Agricultural and Rural Water Use Rationalization Plan excludes river water balance assessments, overlooking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facilities and river-based water syste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that addresses these limit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the mid-watershed of Anseongcheon, establishing the topological relationships of individual facilities based on river flow within sub-watersheds and constructing a water balance network that reflects watershed connectivity. The annual water demand and return flow rates, derived from rural water district water balance analyses, were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water supply model, allowing for the incorporation of daily demand patterns on an annual scale for agricultural water balance analysis.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odel was assessed by comparing conventional MODSIM analysis results with integrated analysis results for the Anseongcheon mid-watershed. 농업용수의 정량적인 물수지 파악은 물관리 정책 및 농업용수의 정량화, 과학적 관리 측면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현재 농업용수는 국가 주요 물관리 계획에서 수행되고 있는 물수지 분석을 통해 추정하고 있으나 기초자료 확보 및 방법론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주요한 한계점으로 첫째, 제1차 국가물관리계획 내 농업용수 분석은 저수지와 하천시설과 같은 수원공 구분이 적용되지 않아 실제와는 다른 농업용수 공급 개념이 반영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부족량 및 회귀량 산정에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순물소모량 개념의 일률적 회귀율 반영으로 농업용수 공급량의 왜곡 및 하천 물수지에서의 회귀량 왜곡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농어촌용수 이용 합리화계획의 경우 하천 물수지를 배제하여 시설물 및 하천 기반의 연계가 누락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기존 모델의 네트워크 및 주요 인자 개선과 하천 물수지 알고리즘을 포함한 모델을 개발하고 국가 물수지 모델인 MODSIM 연계를 통해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안성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소유역 내 하천 흐름에 따른 개별 시설물의 위상 관계를 정립하였으며, 유역 연계 기반 물수지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용수구역 내 수원공별 물수지 분석 결과 중 연별 수요량과 회귀율 결과를 국가 물수급 모델에 연계 적용하였으며, 연 단위 일별 수요 패턴을 반영하여 농업용수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안성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용수구역 내 수원공별 물수지 분석 결과 중 연별 수요량과 회귀율 결과를 MODSIM에 연계 적용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518439604416 |
ISSN: | 2799-8746 2799-87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