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경력 체육교사의 체육교구 개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 내러티브 연구는 한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가 체육교구를 개선하고 활용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 체육교사는 어떠한 체육교구들을 개선해 나갔는지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개선된 교구들을활용한 경험에는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담겨 있는지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의해 18 년 경력의 중학교 체육교사인 김희망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관련 자료는 김희망 교사가 약 1년 5 개월 동안 수행한 학교체육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5차례의 인터뷰와 문서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22; no. 3; pp. 198 - 207
Main Author 장유진(Jang Yujin), 정주혁(Jung Joo-Hyug), 윤현수(Youn Hyun-Su)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30.06.2018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8.22.3.19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내러티브 연구는 한 중학교 경력 체육교사가 체육교구를 개선하고 활용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경력 체육교사는 어떠한 체육교구들을 개선해 나갔는지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개선된 교구들을활용한 경험에는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담겨 있는지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의해 18 년 경력의 중학교 체육교사인 김희망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관련 자료는 김희망 교사가 약 1년 5 개월 동안 수행한 학교체육 활동에 관한 이야기를 5차례의 인터뷰와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넓게 바라보기와 깊게 바라보기를 병행하면서 텍스트화, 개념 생성, 상위-하위범주 생성, 주제 생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분석하였다. 분석과 함께 사실적 기술과 해석적 기술을 순환적으로 실시하면서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김희망 교사는 만보계 사용, 거울 시트지 활용, 폼볼 도입, 래시가드 허용, 복싱 미트 제작, 인증서 적용에 관한 체육교구 개선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체육교구 개선 경험의 기저에는 아이들의 마음 알아차리기, 생활도구를 교육도구로 바꾸기라는 교육적 의미가 담겨있는 것으로 다시 이야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study is to present the story of a vetera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cusing on her experiences of improving and utilizing teaching materials. Specifically, it aims to describe which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were improved by the veteran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utilizing those improved materials. Based on decisive critical case sampling, which is one type of purposeful sampling, Kim; Hee-Mang,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with 1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as selected as the focal research participan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documents and five interviews with Kim; Hee-Mang about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that she did for 1.5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extualization, formation of concept, formation of upper/sub category, and formation of themes. The story writing was done in a circular fashion, by conducting realistic and interpretive description along with analysis. The teacher, Kim; Hee- Mang talked about her experiences of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s in the use of pedometers and, mirror sheets, introduction of foam balls, permission of rash guards, production of boxing mitts, and application of certificates. These stories revealed that the basis of such experiences are about realizing the student's mind and, changing life tools into educational tools. KCI Citation Count: 2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8.22.3.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