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안 소아백내장과 사시발현의 임상양상

목적: 단안 소아백내장 환자들에서 사시의 유병률 및 임상양상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단안 소아백내장으로 백내장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에 각각 사시각 검사, 안구운동검사를 시행하여 사시 유병률을 확인하였으며 수술 전후 안구정렬에 따라 정위/정위, 정위/사시, 사시/사시로 나누어 세 군에서 수술시기, 시력, 약시유무, 구면렌즈대응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소아백내장수술 전 사시는 7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수술 전에 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8; no. 4; pp. 449 - 454
Main Author 황성수(Sung Soo Hwang), 이수정(Soo Jung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단안 소아백내장 환자들에서 사시의 유병률 및 임상양상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단안 소아백내장으로 백내장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에 각각 사시각 검사, 안구운동검사를 시행하여 사시 유병률을 확인하였으며 수술 전후 안구정렬에 따라 정위/정위, 정위/사시, 사시/사시로 나누어 세 군에서 수술시기, 시력, 약시유무, 구면렌즈대응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소아백내장수술 전 사시는 7명에서 동반되어 있었고 수술 전에 사시가 없다가 수술 후 사시가 발생한 경우는 5명으로 최종적으로 수술 후 12명에서 사시가 나타났다. 수술 전에는 외사시가 5명, 내사시가 2명이었고, 수술 후에는 외사시가 9명, 내사시가 3명으로 외사시가 내사시보다 흔하였다. 수술 전후 안구정렬에 따라 정위/정위, 정위/사시, 사시/사시의 세 군 간의 비교에서는 정위/사시군에서 백내장수술 후 시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안과 백내장안의 시력차이가 유의하게 컸고, 수술시기, 약시 및 구면렌즈대응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단안 소아백내장에서는 외사시가 가장 흔히 나타나며, 수술 후 시력이 낮은 경우 사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술 후 이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incidence rate and clinical features of strabismus and factors affecting onset of strabismus were evaluated in patients with unilateral pediatric cataract.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who underwent lens removal for treatment of unilateral cataract between January 1996 and January 2011 were evaluat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rtho/Ortho, Ortho/Strabismus, and Strabismus/Strabismus) according to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cular alignment. Age at surgery, visual acuity, amblyopia, and spherical equivalent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Results: Of the total patients, 7 had strabismus preoperatively and 5 developed postoperative strabismus. Thus, a total of 12 patients had postoperative strabismus. Preoperatively, 5 patients had exotriopa and 2 patients had esotropia. Postoperatively, 9 patients had exotropia and 3 patients had esotropia. Exotropia was more common than esotropia. In comparison of the 3 groups, postoperative visual acuity was significantly low, and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between normal eye and cataract eye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Ortho/Strabismus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3 groups in age at surgery, amblyopia, or spherical equivalent. Conclusions: In the patients with unilateral pediatric cataract, exotropia was the most common type.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ostoperative strabismus in patients who had lower postoperative visual acuity, careful observation is needed in these patient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25.2017.58.4.009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