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병으로 진단된 국내 환자의 특성과 임상경과

목적: 베스트병으로 진단된 국내 환자들의 특징과 임상경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베스트병을 진단 받은 후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 당시 질병의 단계 및 최대교정시력을 확인하였으며,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질병의 단계 진행 여부를 확인하였다. 진단 시 및 최종 추적 관찰 시의 최대교정시력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단계의 진행이 있었던 안과 없었던 안 사이에 시력 변화 정도를 추가로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16명(32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2; no. 3; pp. 337 - 344
Main Authors 이지현(Ji Hyun Lee), 유영주(Young Ju Lew), 김재휘(Jae Hui Kim), 김종우(Jong Woo Kim), 김철구(Chul Gu Kim), 이동원(Dong Wo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3.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베스트병으로 진단된 국내 환자들의 특징과 임상경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베스트병을 진단 받은 후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진단 당시 질병의 단계 및 최대교정시력을 확인하였으며,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질병의 단계 진행 여부를 확인하였다. 진단 시 및 최종 추적 관찰 시의 최대교정시력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단계의 진행이 있었던 안과 없었던 안 사이에 시력 변화 정도를 추가로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16명(32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52.1 ± 31.8개월이었다. 진단 시 베스트병 단계는 1단계 3안, 2단계 9안, 3단계 7안, 4단계 11안, 5단계 2안이었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9안(28.1%)에서 단계의 진행이 관찰되었다.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시력은 진단 시 평균 0.19 ± 0.19였으며, 최종 추적 관찰 시 평균 0.30 ± 0.27로 유의하게 악화되었다(p=0.004). 6안(18.8%)에서 logMAR 0.2 이상의 시력저하가 나타났다. 시력 악화 정도는 단계의 진행이 있었던 9안(0.25 ± 0.26)에서 단계 진행이 없었던 23안(0.05 ± 0.08)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나타났다(p=0.001). 결론: 베스트병 환자의 진단 시 시력은 비교적 좋은 편이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일부 환자에서 질병의 단계 진행과 시력저하가 나타났다. 단계의 진행은 나쁜 시력예후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Best disease in Korean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Best disease followed-up for more than 12 months after diagnosis. The disease stage and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t diagnosis, and stage progression during follow-up, were evaluated. The BCVA at diagnosis was compared to that at the final follow-up. The BCVA changes were compared between those evidencing stage progression and not. Results: A total of 16 patients (32 eyes) were enroll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1 ± 31.8 months. At diagnosis, three eyes had stage 1, nine stage 2, seven stage 3, 11 stage 4, and two stage 5 disease. During follow-up, stage progression was observed in nine eyes (28.1%). The mean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BCVA significantly worsened from 0.19 ± 0.19 at baseline to 0.30 ± 0.27 at the final follow-up (p = 0.004). In six eyes (18.8%), a deterioration of logMAR 0.2 or greater was noted. The extent of deterioration was greater in the nine eyes (0.25 ± 0.26) exhibiting stage progression than in the 24 eyes (0.05 ± 0.08) lacking such progression (p = 0.001). Conclusions: The visual acuity of Best disease patients was relatively good at diagnosis. However, stage progression and visual deterioration were noted in some patients. Stage progression was associated with a poor visual prognosis.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