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신생아를 위한 조기 신경발달검사의 유용성

목적: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의 12개월 발달 상태와 이후 소아기발달 수준을 비교하여 12개월 발달 평가의 임상적 유용성을 파악하기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은 후 퇴원하여 교정 연령 12개월에 Bayley 검사를 시행하고 24–36개월에 동일검사로 추적 평가한 148명의 자료를 검토하였고 선천성 근 골격계 기형을 가진 2명을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시기의 발달 수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으며, 발달 지연의 양상, 심한 정도, 그리고 재태연령을 고려하여 파악하였다. 결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 26; no. 3; pp. 164 - 169
Main Authors 이경은(Kyoung Eun Lee), 우정희(Jung Hee Woo), 신정희(Jung Hee Shin), 최의경(Eui Kyung Choi), 최성은(Sung Eun Choi), 김지연(Ji Yeon Kim), 최병민(Byung Min Choi), 은소희(So-Hee 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30.09.2018
대한소아신경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6884
DOI10.26815/jkcns.2018.26.3.16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의 12개월 발달 상태와 이후 소아기발달 수준을 비교하여 12개월 발달 평가의 임상적 유용성을 파악하기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 받은 후 퇴원하여 교정 연령 12개월에 Bayley 검사를 시행하고 24–36개월에 동일검사로 추적 평가한 148명의 자료를 검토하였고 선천성 근 골격계 기형을 가진 2명을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두 시기의 발달 수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으며, 발달 지연의 양상, 심한 정도, 그리고 재태연령을 고려하여 파악하였다. 결과: 146명 중 35명(24.0%)은 12개월에 정상 발달을 보였고, 45명(30.8%)은 운동발달지연, 7명(4.8%)은 정신발달지연, 그리고 59명(40.4%)은 전반적 지연을 보였다. 24–36개월에 52명(35.6%)은 정상 발달을 보였고, 10명(6.8%)은 운동발달지연, 16명(11.0%)은 정신발달지연, 그리고 68명(46.6%)이 전반적 지연을 보였다. 12개월에 정상 발달을 보인 35명 중 27명(77.1%)은 이후에도 정상 발달을 보였고, 전반적 지연을 보인 59명 중 46명(78.0%)은 이후에도 전반적 지연을 보여 12개월발달 상태는 이후 유아기 발달 수준과 연관되었다(P<0.01). 발달 지연의양상과 정도 측면에서 보면, 12개월에 정신발달지연을 보인 대부분은이후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진행했고, 운동발달지연은 경도 지연의 반이상은 이후 따라잡기 발달을 하지만 중증 지연은 대부분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진행했다. 재태 연령에서는 12개월에 전반적 발달 지연을 보인 미숙아의 상당 수는 이후 따라잡기 발달을 하지만 만삭아의 경우 대부분 이후에도 전반적 발달 지연을 보였다(P<0.01). 결론: 고위험 신생아의 12개월 Bayley 검사는 유아기의 발달 상태를예측할 수 있으며 발달 지연의 조기 선별에 유용하겠다. Purpose: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12-month developmental assessment in high-risk neonates by comparing their 12 month and later childhood develop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high risk neonates admitted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or ten years. Data of 146 patients, who underwent the Bayley test at 12 months of age and retook the same test at 24-36 months, was analyzed. Changes in mental developmental index (MDI) and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DI) were assessed and <85 scores of indices were defined as abnormal. Results: At 12 months of age, 35 (24.0%) had normal development, 45(30.8%) had psychomotor developmental delay (MDI≥85, PDI<85), 7(4.8%) had mental developmental delay (MDI<85, PDI≥85), and 59(40.4%) had global delay (MDI & PDI <85). At 24–36 months of age, 52(35.6%) had normal development, 10(6.8%) had mental delay, 16(11.0%) had psychomotor delay, and 68(46.6%) had global delay. Out of 35 patients with normal development at 12 months, 27(77.1%) showed normal development after that, and 46(78.0%) of 59 patients with global delay showed a global delay. All 7 patients who had delayed mental development at 12 months showed global delay at 24–36 months of age (P<0.01). The 12-month development of high-risk neonates was associated with later developmental status. Conclus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or delayed development, the 12-month Bayley test of high-risk neonates may be useful for prediction of later developmental progres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6884
DOI:10.26815/jkcns.2018.26.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