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The neutral zone technique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construction of complete dentures on highly atrophic ridges with history of denture instability. This technique achieves two objectives. First, the teeth will not interfere with the normal muscle function, and second, the force exerted by...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54; no. 4; pp. 407 - 412
Main Authors 이자연, 최순영, 이지현, Lee, Ja-Youn, Choi, Sun-Young, Lee, Ji-Hyo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철학회 01.10.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01-2875
2005-3789
DOI10.4047/jkap.2016.54.4.4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neutral zone technique 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construction of complete dentures on highly atrophic ridges with history of denture instability. This technique achieves two objectives. First, the teeth will not interfere with the normal muscle function, and second, the force exerted by the musculature against the denture is more favorable for stability and retention. In this case of a 78-years-old female patient with severely atrophic ridges who had been using unstable complete dentures, the neutral zone impression technique was used to increase the stability and the retention of dentures. The neutral zone for both arch was located with modeling compound. After the arrangement of artificial teeth within the neutral zone, the external impression was taken to determine the tissue surface. The final dentures showed enhanced stability and retention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new dentures with respect to functional and esthetic aspects.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적절한 의치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중립대 인상 기법을 이용한 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함이다. 첫째, 치아가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의치에 저항하여 가해지는 근육 조직의 힘이 안정과 유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78세 여자 환자로 오랜 기간 불안정한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립대 인상 기법을 통한 새로운 의치의 제작을 계획하였다. Modeling compound를 이용하여 중립대를 인기하였으며 치아 배열 후 external impression을 시행함으로써 정확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완성된 상 하악 총의치는 보다 향상된 안정과 유지를 보였으며 환자 역시 새로 제작된 의치에 만족감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633056056779
G704-000656.2016.54.4.002
https://doi.org/10.4047/jkap.2016.54.4.407
ISSN:0301-2875
2005-3789
DOI:10.4047/jkap.2016.54.4.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