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근시환자에서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목적: 고도근시환자의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도근시환자 중 표층황반원공으로 23게이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31명 3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도근시에 해당되지 않은 환자 중 표층황반원공으로 수술받은 32명 32안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최대교정시력,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표층황반원공의 구조적 변화를 수술 전, 수술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째마다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고도근시군과 대조군은 술 전 최대교정시력과 중심구역황반두께에서 통계학적으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60; no. 4; pp. 315 - 322
Main Authors 김희원(Hee Weon Kim), 추헌구(Hun Gu Choo), 성산(San Seong), 오현섭(Hyun Sub Oh), 유용성(Yong Sung Yoo), 김순현(Soon Hyun Kim), 권오웅(Oh Woong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4.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고도근시환자의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도근시환자 중 표층황반원공으로 23게이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받은 31명 3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도근시에 해당되지 않은 환자 중 표층황반원공으로 수술받은 32명 32안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최대교정시력,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표층황반원공의 구조적 변화를 수술 전, 수술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째마다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고도근시군과 대조군은 술 전 최대교정시력과 중심구역황반두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차 수술 성공률은 고도근시군에서 96.77%, 대조군에서 100%의 성공률을 보였다. 술 후 24개월째 고도근시군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불량한 최대교정시력을 보여주었으며, 중심구역황반두께, 표층황반원공의 내측 직경과 외측 직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도근시군에서 중심와층간분리가 동반되어 있거나 -8.0디옵터 이상인 초고도근시안에서는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유의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고도근시안에서 동반된 표층황반원공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우수한 수술성공률을 보이나, 비고도근시안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고도근시에서 표층황반원공은 술 전 시력과 황반 구조가 보존되어 있을 때 조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urgical treatment for a lamellar macular hole in highly myopic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1 eyes of 31 patients with a high myopia, who underwent 23-gauge vitrectomy and inner limiting membrane peeling after diagnosis of a lamellar macular hole. Thirty-two eyes of 32 patients with no high myopia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checked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as used to evaluate structural changes in the lamellar macular hole before surgery, 6 months, 12 months, and 24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 high myopia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BCVA and central foveal thickness. The success of primary surgery was 96.77% in the high myopia group and 100% in the control group. At postoperative 24 months, the high myop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er BCVA,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entral foveal thickness and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lamellar macular hole. In cases of foveoschisis or a very high degree of myopia of more than -8.0 diopters,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BCVA after surgery. Conclusions: Surgical treatment of a lamellar macular hole associated with a high degree of myopia showed excellent surgical success, but was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surgical treatment of non-myopia eyes. Early surgical treatment can be considered for a lamellar macular hole associated with a high degree of myopia when preoperative visual acuity and macular architecture are preserved.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