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한 傷寒論 組方의 分析 - 桂枝湯, 麻黃湯, 大靑龍湯을 중심으로
목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상한론』에 기재된 방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로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와 쿼리의 효용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계지탕, 마황탕, 대청룡탕의 방제를 구성하는 본초 조합과 주치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방법: 『傷寒雜病論硏究大成』을 저본으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하나의 조문도 내용에 따라 조문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지식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자료의 입력과 분석을 위하여 5개의 테이블과 12개의 쿼리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방제에 포함된 본초의 종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제 혹...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 32; no. 1; pp. 171 - 189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8.02.2019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8328 2713-850X |
DOI | 10.14369/jkmc.2019.32.1.171 |
Cover
Summary: | 목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상한론』에 기재된 방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로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와 쿼리의 효용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계지탕, 마황탕, 대청룡탕의 방제를 구성하는 본초 조합과 주치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방법: 『傷寒雜病論硏究大成』을 저본으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하나의 조문도 내용에 따라 조문을 분리하여 독립적인 지식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자료의 입력과 분석을 위하여 5개의 테이블과 12개의 쿼리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방제에 포함된 본초의 종류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제 혹은 가미된 방제를 검색할 수 있었으며, 해당 방제들의 주치증을 모아 비교할 수 있었다.
결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상한론』에 기재된 방제에 대하여 본초조합, 병증조합을 조건으로 관련 원문과 본초 및 병증 조합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면 방제간의 이론적 연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analyzes herbs combinations and primary virtues that constitute the prescriptions of Gyeji-tang, Mahwang-tang, and Daecheongryong-tang to effectively analyze medication preparations described in "Shanghanlun" using database, and test the results of the data structure and effectiveness of queries.
Methods : This study enters "Sanghanjapbyeongronyeonggudaeseong" as the original text into the database, and even uses one provision as independent knowledge by dividing provis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Results : Five tables and 12 queries were created and used for data input and analysis. Using the types of Herb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s, this study manages to search for the same or supplemented prescriptions, and the primary virtues of the prescription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Conclusions : Subject to the combination of herbs and pathology for the prescriptions described in "Shanghanlun" utilizing the database, this study found relevant texts and combinations of herbs and pathologies, and using this, the time required for theoretical research between prescriptions could be shortened.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9-8328 2713-850X |
DOI: | 10.14369/jkmc.2019.32.1.1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