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에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사 제조업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Proficiency-centered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the past is now expanding into that focused on expertise and knowledge. So the paradigm shift about human resources and management of them is required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nd run the organization in a stable way.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9) Vol. 18; no. 9; pp. 217 - 230
Main Authors 조환철, 엄재근, Jo, Hwan-Chul, Eom, Jae-G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9.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9.2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Proficiency-centered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the past is now expanding into that focused on expertise and knowledge. So the paradigm shift about human resources and management of them is required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nd run the organization in a stable way.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in various fields job compet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but researchers' point of view is limited only to proficiency. With a focus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 of job knowledge and proficiency on a turnover intention and its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S company whose manufacturing environment is changing fast.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he job knowledge and profici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job satisfaction influences a turnover intention.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job knowledge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providing a basic data needed to manage job competence of manufacturing labor force. 제조업의 기술고도화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은 과거의 숙련도 중심에서 전문기술과 지식으로까지 확대되고 있어 인력과 역량 관리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해야 경쟁력 유지와 안정적인 조직 운용이 가능한 상황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직무역량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지만 제조업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자들의 시각은 숙련도에 국한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생산직 근무자들의 확장된 직무역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 환경의 변화가 빠른 S기업의 가전제품 조립 공장의 생산직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지식과 숙련도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직 근무자들의 직무지식, 숙련도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변화된 제조업 생산 조직의 역할을 배경으로 그 구성원들의 직무지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제조 근무자들의 직무역량 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83185488603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9.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