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사업의 성과평가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 University's Premier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The net impact of the program is evaluated through a quasi-experiment design approach. The competency level of an individual participant is compared with that of a non-participat...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9(3) Vol. 19; no. 3; pp. 97 - 104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건설관리학회
01.05.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095 2465-9703 |
DOI | 10.6106/KJCEM.2018.19.3.097 |
Cover
Summary: |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 University's Premier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The net impact of the program is evaluated through a quasi-experiment design approach. The competency level of an individual participant is compared with that of a non-participating expert with similar professional background.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ining program contribute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The competency level was regressed on the subjects of curriculum. The achievements are attributable to a group of subjects focused on the skills for project development such as PPP, feasibility study, and project financing. Another group of subject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d competencies can be categorized as subjects focused on nurturing global perspectives. The paper shows it is possible to quantify the contribution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s provide a set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ful in designing and operating similar programs. 본 논문은 S대학교 '글로벌 건설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성과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인력양성 사업의 순수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준실험설계법을 적용하였다. 즉, 프로그램에 참여한 각 졸업생의 업무능력을 해외건설업무 및 분야가 가장 유사한 경력을 가진 짝(pair)으로 선택한 대조군 전문가의 업무능력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졸업생의 업무역량이 대부분의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핵심역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업무역량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재학생들의 인력양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업무역량 향상에는 사업초기 단계의 사업 기획에 필요한 업무역량인 민관협력(PPP), 사업타당성조사 및 위험분석, 프로젝트 금융 등의 과목이 인력양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해외 인턴십, 글로벌 인턴십 세미나와 같이 학생들의 해외 네트워킹 강화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제고를 위한 과목들도 인력양성 프로그램 제고에 기여도가 높은 과목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에 유용한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816563163453 |
ISSN: | 2005-6095 2465-9703 |
DOI: | 10.6106/KJCEM.2018.19.3.0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