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CAD-CAM 기법을 이용한 상악 총의치 및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보고

The CAD-CAM technique is a rapidly developing field in the dental field and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prosthetic treatment. Among them, the manufacturing of dentures using the milling technique classified as subtractive manufacturing is one of the commercialized digital full denture manufactu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59; no. 4; pp. 442 - 450
Main Authors 김건민, 오경철, 김상현, 한철관, 김지환, Kim, Kun Min, Oh, Kyung Chul, Kim, Sang Hyun, Han, Chol Gwan, Kim, Jee Hw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철학회 01.10.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01-2875
2005-37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CAD-CAM technique is a rapidly developing field in the dental field and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prosthetic treatment. Among them, the manufacturing of dentures using the milling technique classified as subtractive manufacturing is one of the commercialized digital ful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manufacture a metal framework for implant overdenture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or melting technique classified as a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fabrication of CAD-CAM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as well as its features. 컴퓨터 지원 설계 및 제조 기법(CAD-CAM)은 치과 영역에서 급속도로 발전해온 분야로, 다양한 보철 치료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이 중 절삭형 방식(Subtractive Manufacturing)으로 분류되는 절삭가공 기법을 이용한 의치 제작은 상용화된 디지털 총의치 제작 방식 중 하나이며, 동시에 첨가형 방식(Additive Manufacturing)으로 분류되는 레이저 소결 혹은 용융 기법을 활용하여 피개의치를 위한 금속구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CAD-CAM을 통해 절삭형 방식으로 제작한 상악 총의치와 3D 금속 프린팅을 이용한 금속구조물과 절삭형 방식으로 제작된 인공치를 접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적절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으므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131249833972
https://doi.org/10.4047/jkap.2021.59.4.442
ISSN:0301-2875
2005-3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