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 운용에 관한 고찰
일본은 인구감소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사업 방식으로 콤팩트시티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콤팩트시티사업의 추진은 입지적정화계획의 작성을 통해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운용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적정화계획은 거주기능과 복지·의료·상업 등 도시시설의 입지와 공공교통의 충실성 확보 등에 관한 포괄적인 마스터플랜으로서 도시계획 구역 내의 구역을 대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둘째, 입지적정화계획은 시초우손이 작성하는데 주변의 다른 시초우손과 제휴하여 복수의 시초우손이...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부동산학회지 no. 49; pp. 51 - 6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부동산학회
30.09.2018
Korea Real Estate Society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1054 2713-6981 |
Cover
Summary: | 일본은 인구감소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사업 방식으로 콤팩트시티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콤팩트시티사업의 추진은 입지적정화계획의 작성을 통해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운용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적정화계획은 거주기능과 복지·의료·상업 등 도시시설의 입지와 공공교통의 충실성 확보 등에 관한 포괄적인 마스터플랜으로서 도시계획 구역 내의 구역을 대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둘째, 입지적정화계획은 시초우손이 작성하는데 주변의 다른 시초우손과 제휴하여 복수의 시초우손이 함께 수립할 수 있다. 셋째, 입지적정화계획의 구역 내에 시가화 구역을 지정하고, 시가화구역 내에 거주유도구역을, 거주유도구역 내에는 도시기능유도구역을 지정한다. 또한 도시기능유도구역 내에는 유도시설의 입지를 유도하여야 하며, 보행자의 이동상 편리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주차장배치 적정화구역을 지정한다. 넷째, 거주유도 구역 외의 구역 중 철거지 등의 적정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구역에 대해서 철거지 등 관리구역을 지정하고 관리지침을 수립할 수 있으며, 주택지화를 억제할 필요가 있는 구역에 대해서는 도시계획에 거주조정지역을 지정할 수 있다. 다섯째, 거주유도지역 외에 주택개발 등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도시기능유도지역 외에 유도시설의 정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시재생특별법에 신고 및 권고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여섯째, 거주조정지역 구역 내에 신고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거주조정지역을 시가화조정지역으로 간주하고 개발허가제도가 적용되며, 거주유도구역 내 공공교통시설 등의 정비에 대한 시책을 수립한다. Japan is executing the Compact City Plans as mean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mall/medium cities in which substantial level of population decrease and the aging phenomenon are taking place. In fact, these Compact City Plans are actually guided by the Locational Optimization Plan, which is the main subject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Locational Optimization Plan, that is, a Comprehensive Masterplan of the optimized arrangement of locations of urban facilities including welfare, medical, and commercial ones as well as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may be applied in a certain areas of urban planning districts. Second, the Locational Optimization Plan is usually devised by a Shichowooson(urban district unit in Japan), yet it may be also cooperatively devised by more than two Shichowoosons if needed. Third, Locational Optimization Plan designate the urbanization areas while residential concentration zone is designated within the urbanization area and the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zone is, once again, designated within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 area. In addition, urban function concentration zone should be able to guide the appropriate location of urban facilities, and also separately designate the optimized parking lot areas in order to elevat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pedestrian traffic. Fourth, when certain areas are needed to be demolished, the relevant maintenance zone could be designated. In the same context, the residential maintenance zone may be designated in places where population controls are actually needed. Fifth, Locational Optimization Plan, according to th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requires to register those residentail development plans outside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 zone, in order to identify the overall residential development circumstance, and also to apprehend the urban regeneration state level. Sixth, in case of registering residential development plans within residential maintenance zones, the subject zones will be regarded as the urbanization areas where development permit system will be applied and the maintenance plans of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will be devis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5-1054 2713-69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