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기여도 분석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the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s bigger than the average of whole industry, but that of the service sector is smal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 19; no. 5; pp. 1031 - 1039
Main Authors 김방룡, 홍재표, Kim, Pang-ryong, Hong, Jae-py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정보통신학회 01.05.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5.19.5.103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the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s bigger than the average of whole industry, but that of the service sector is smaller than the average.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ctor is superior to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value 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s.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f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the average of whole industry. Th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has insignificant contribution to national economy and employment growth overall. In particular, the manufacturing sector records minus contribution to employment growth, which means that a lot of effort for increasing employment must be given further on in the sector.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국내 정보보호 제조 및 서비스 산업의 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정보보호 제품의 생산유발계수는 전 산업 평균보다 크지만, 정보보호 서비스는 전 산업 평균을 크게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가가치유발계수 및 고용유발계수의 경우 정보보호 서비스는 전 산업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데 반해, 정보보호 제품은 전 산업 평균에 미치지 못해 생산유발계수와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전ㆍ후방 연쇄효과는 정보보호 제품 및 서비스 모두 산업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보호 산업은 전반적으로 국민경제에 미치는 성장 기여도와 고용기여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보보호 제품의 경우 고용기여도가 마이너스를 기록해 해당 부문의 고용증대를 위한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25960517826
G704-SER000003195.2015.19.5.031
http://www.jkiice.org/
ISSN:2234-4772
2288-4165
DOI:10.6109/jkiice.2015.19.5.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