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작된 2003년부터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끝난 2017년까지 15년간 학술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들에 나타난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각 시기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과 영역 프로그램이 전시기 논문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과학, 생물 순으로 많이 발표되었다. 학교급에 따른 연구 대상은 초등 학생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1, 2, 3차 모두 12차시 이내가 가장 많았다. 대학 부설 중등 영재교육원 연구가 가장 활발했으며 단일 집단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시기에 걸쳐...
Saved in:
Published in | 교과교육학연구 Vol. 24; no. 1; pp. 45 - 5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8.02.2020
교과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20.24.1.45 |
Cover
Summary: | 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시작된 2003년부터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이 끝난 2017년까지 15년간 학술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들에 나타난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각 시기별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교과 영역 프로그램이 전시기 논문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과학, 생물 순으로 많이 발표되었다. 학교급에 따른 연구 대상은 초등 학생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1, 2, 3차 모두 12차시 이내가 가장 많았다. 대학 부설 중등 영재교육원 연구가 가장 활발했으며 단일 집단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시기에 걸쳐 과학 영재 교육 요소로 인지적 영역에서는 학습 능력, 개념 및 원리, 창의적 사고,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 능력으로 나타났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과학 관련 태도, 창의적 인성, 리더십,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으로 나타났다. 교육 활동 유형은 교실 내 탐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실 밖 탐구는 대부분 초등학생에게 집중되었고 사이버 탐구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각 시기별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프로그램 관련 정책은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 측정은 1, 2차 시기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더 많았으나 3차에서는 정의적 영역이 더 많았다.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in the papers published and posted on the academic registry for 15 years from 2003 when the 1st master plan for Korean gifted education started to 2017 when the 3rd master plan was comple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 papers from the previous period were about the curriculum programs, coming in the order of science and biology. In terms of the study subj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and in terms of the program period, 12 classes were the most common all 3 periods. The study was most active with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and the single group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Over all periods, scientific genius education elements covered their ability to learn, concept and principle, creative thinking, scientific explora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cognitive field, and their attitude related to science, creative character, 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defining field. For th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class explor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while the outside the classroom activities were mostly don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line exploration was not much activated. Policies related to the comprehensive program for education promotion of gifted children in each period ha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in the measurement of effects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it was more commonly measured in the cognitive field in the 1st and 2nd period while it became more frequent in the defining field in the 3rd period.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20.24.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