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수업으로서의 “디지털 인문학” 수업 개발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인문학을 교육⋅계획하고 있는 국내 대학 4개교의 커리큘럼과 교육 내용을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1학기 교양 교육 수업에 적합한 수준과 범위에 맞는 디지털 인문학 수업을모색⋅개발하는 것이다. 4개 대학은 조사 결과 각 학교의 교육대상 학생들의 소속과 이에 따른 데이터처리와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어느 수준에서 교육하느냐에 따라서 구분되었다. 문과가 거의 대다수를차지하는 A, B 대학과 문이과가 섞여있는 C대학, 이공계의 D대학으로 나뉘었고, 기초적인 구글 앱과엑셀 등을 활용하는 A대학에서 파이썬과 R과 같은 프로그래...
Saved in:
| Published in | 교양교육연구 Vol. 15; no. 5; pp. 25 - 39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교양교육학회
30.10.2021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976-3212 2714-1101 |
Cover
|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인문학을 교육⋅계획하고 있는 국내 대학 4개교의 커리큘럼과 교육 내용을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1학기 교양 교육 수업에 적합한 수준과 범위에 맞는 디지털 인문학 수업을모색⋅개발하는 것이다. 4개 대학은 조사 결과 각 학교의 교육대상 학생들의 소속과 이에 따른 데이터처리와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어느 수준에서 교육하느냐에 따라서 구분되었다. 문과가 거의 대다수를차지하는 A, B 대학과 문이과가 섞여있는 C대학, 이공계의 D대학으로 나뉘었고, 기초적인 구글 앱과엑셀 등을 활용하는 A대학에서 파이썬과 R과 같은 프로그래밍의 선수학습이 이루어진 상황에서 이를활용하는 D대학까지 편차가 컸다. 그렇지만 이들 대학들의 디지털 인문학 수업은 에서 공통적으로① 디지털 인문학적 접근을 위한 기본적인 개념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툴에 대한 교육, ② 기존 학과 전공을 통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적용 가능성 모색, ③ 실제적인 적용과 창작이라는3단계 과정에 입각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 학기라는 짧은 기간에 효과적으로이 3단계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강의 개요를 구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of four Korean universities that are educating or plan to educate their students in the Digital Humanities, as well as to find and develop Digital Humanities classes suitable for one semester within their liberal arts education classe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our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ffiliation of the students’ subject at each school and the level of programming related to data processing.
A and B universities’ Digital Humanities major students were predominantly from liberal arts majors, C universities students consisted both of liberal art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nd D universities students’ majors were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ies from group A used basic Google apps and Excel, but D universities used higher-level programming languages. However, Digital Humanities classes at these universities are based on a three-step course: First, education involving basic concepts for Digital Humanities and basic tools for data analysis. Second, search for applicability to Digital Humanities through existing majors. Third,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creation of the Digital Humanities project.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ways to effectively convey this three-step process in the short period of one semester and devised a detailed lecture outline.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976-3212 271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