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 동아시아의 鍼術인 鷄足에 대하여

연구목적 : 『東醫寶鑑·鍼灸篇』에서는 鷄足鍼法이라는 朝鮮鍼灸의 刺法이 있다. 이 鷄足은 『靈樞·官鍼』의 合谷刺를 가리킨다. 日本에서는 『鍼灸極秘傳』의 「別傳」으로 전해졌지만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연구방법 : 『東醫寶鑑』, 『黃帝內經靈樞』, 『醫學綱目』, 『鍼灸極秘傳』, 『杉山眞傳流』, 『鍼灸樞要』등의 의서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日本에서는 『鍼灸極秘傳』의 「別傳」으로 전해졌지만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手技와 유사한 것이 『杉山眞傳流』 「表의 卷·第五」에 나오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 31; no. 3; pp. 143 - 153
Main Author 吉田和裕(Kazuhiro Yoshid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한의학원전학회 30.08.2018
Journal of Oriental Medical Classics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8328
2713-850X
DOI10.14369/jkmc.2018.31.3.14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 『東醫寶鑑·鍼灸篇』에서는 鷄足鍼法이라는 朝鮮鍼灸의 刺法이 있다. 이 鷄足은 『靈樞·官鍼』의 合谷刺를 가리킨다. 日本에서는 『鍼灸極秘傳』의 「別傳」으로 전해졌지만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연구방법 : 『東醫寶鑑』, 『黃帝內經靈樞』, 『醫學綱目』, 『鍼灸極秘傳』, 『杉山眞傳流』, 『鍼灸樞要』등의 의서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日本에서는 『鍼灸極秘傳』의 「別傳」으로 전해졌지만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手技와 유사한 것이 『杉山眞傳流』 「表의 卷·第五」에 나오는 手術의 部 가운데 ‘三法手術의 法’과 十八術의 口傳 가운데 ‘三法鍼의 傳’으로 계승 발전되었다. 또한 이 三法이 『靈樞·官鍼』의 齊刺인데, 『杉山眞傳流』의 ‘三法手術의 法’으로 계승되었지만 그 刺法의 三鍼은 鷄足과 유사하고, 같은 책 十八術의 主治 가운데 ‘三法主治’로부터 口傳된 ‘三法鍼의 傳’으로 분파되었다. 연구결론 : 合谷刺는 鷄足鍼法으로부터 ‘鷄足의 傳’으로, 齋刺는 三刺로부터 三法으로, 나아가 ‘三法手術의 法’으로부터 ‘三法鍼의 傳’으로 전개되었다. 이로써 근세에 鷄足 鍼術이 동아시아에 영향을 준 과정과 발전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 Donguibogam Chimgupyun has a sort of acupuncture technic in Josun called Gyejokchimbub. This Gyejok refers to the habgogja of Ling shu ․guanzhen. This was conveyed to Japan as Shinkyugokuhitsuto’s Betsutsuto but it is unclear as to how this is used today. Methods : Medical texts such as Donguibogam, Huangdineijing Lingshu, Yixuegangmu, Shinkyugokuhitsuto, Sugiyamamakototsutoryu, and Shinkyusuyo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Results : Gyejok acupuncture is conveyed to Japan as Shinkyugokuhitsuto’s Betsutsuto but it is unclear as to how this is being used. What is similar to this technic is the Sanhoshujutsuho in hand technic’s part and Sanhohariden in Juhachijutsu’s Kuden which are shown in the chapter five of Book of Hyo. Moreover, this Sanho is Lingshu ․ Guanzhen’s Qici. This was continued as Sugiyamamakototsutoryu’s Sanhoshujutsuho, but sansin in needle technic is similar to Gyejog, and it was branched out into Sanhoshujutsuho that is orally transmitted from Sanhoshiyuji as seen in the same book, Juhachijutsu’s principal treatment. Conclusions : Habgogja is a ‘Gyejog Tsuto’ originating from Gyejog technic, and Qici is Sanho originating from Santoge. They developed into Sanhohariden from Sanhoshujutsuho. This tells us how Gyejog acupuncture technic has affected East Asi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mc.jams.or.kr/jams/download/FI0004496764.pdf
ISSN:1229-8328
2713-850X
DOI:10.14369/jkmc.2018.31.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