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측성 안면 신경마비 환자에서의 총의치 수복 증례
Bell's palsy is an acute-onset unilateral peripheral facial neuropathy. For patients with sequelae of facial paresis,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arches is challenging. This case report described the treatment procedures and clinical considerations to fabricate complete de...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55; no. 4; pp. 451 - 457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치과보철학회
01.10.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01-2875 2005-3789 |
DOI | 10.4047/jkap.2017.55.4.451 |
Cover
Summary: | Bell's palsy is an acute-onset unilateral peripheral facial neuropathy. For patients with sequelae of facial paresis,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arches is challenging. This case report described the treatment procedures and clinical considerations to fabricate complete dentures of a patient who showed unilateral displacement of mandible, unilateral chewing pattern and parafunctional jaw movement due to sequelae of Bell's palsy. Gothic arch tracing was used to record reproducible centric relation and lingualized occlusion was performed to provide freedom to move between centric relation and the patient's habitual functional area in fabricating satisfactory dentures in terms of function and esthetics. 벨마비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급성 말초성 안면 신경마비로 주로 편측으로 나타난다. 일부에서는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여 안면 근육의 불완전 마비, 구축 등의 후유증으로 인해 하악의 편측 변위 또는 편측 저작 습관 및 부조화가 나타나며, 따라서 만약 무치악 환자에서 총의치로 수복한다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벨마비의 후유증과 불안정한 하악 운동으로 인해 술자에 의한 중심위 채득이 어려운 무치악 환자에서 고딕아치 묘기법으로 재현성 있는 중심위를 채득하고, 중심위와 환자의 습관적인 하악 기능 운동 범위 간의 자유도 부여를 위해 설측 교합을 이용하여 총의치를 제작함으로써 기능 및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733347806493 https://doi.org/10.4047/jkap.2017.55.4.451 |
ISSN: | 0301-2875 2005-3789 |
DOI: | 10.4047/jkap.2017.55.4.4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