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학습 부진아 지도로서의 중재반응모형(RTI)의 적용 효과

현대 과학 교육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 교육에 집중하는 것이다. 초등교육은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을 적용하여 과학학습 부진아동을 지도하여 구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학년 2학기 3단원 ‘물체의 속력’ 단원으로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중재 1단계에서는 3주에 걸쳐 과학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7; no. 4; pp. 1195 - 1219
Main Author 주혜련, 박종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12.2013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3.17.4.11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현대 과학 교육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 교육에 집중하는 것이다. 초등교육은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재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을 적용하여 과학학습 부진아동을 지도하여 구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학년 2학기 3단원 ‘물체의 속력’ 단원으로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중재 1단계에서는 3주에 걸쳐 과학 전담 교사가 일반 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 2단계는 8주간 연구자가 직접교수법을 활용한 소집단 교수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학업 성취도 검사 2회, 교육과정중심평가는 4회를 실시하여 두 검사 점수의 합이 하위15%를 나타내는 15명을 과학학습 부진아동으로 선별하여 그 중 본인의 동의를 얻은 11명을 2단계 연구를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총 3회의 학업 성취도 검사와 총 10회의 교육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여 중재반응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단계 중재로 과학학습 부진아동으로 선별된 11명의 아동 중 8명이 일반 아동을 뛰어 넘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과학학습 부진아동이라 할지라도 중재반응의 2단계 소집단 교수에 성실히 임한 부진아동은 일반 아동과 같은 학업 성취도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제되지 못한 나머지 3명의 아동은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중재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과학학습 부진아동이라고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2단계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과학학습 부진아동으로 판별된 아동이 모두 수학기초학습부진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수학기초학습부진과 과학학습부진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껏 수학에서만 다루어지던 틀을 깨고 앞으로는 과학에서도 중재반응을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과학학습 부진아동의 구제와 판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sponse to Intervention(RTI) as a teaching methodology for underachievers in science. The participants were fifth-grade student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involved the science textbook section ‘The speed of an object’. In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 matter was taught generally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The researcher conducted subgroup teaching using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in the second stage of the intervention for eight week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involved select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and determining their baseline(the bottom 15%), the second provided sixteen thirty-minute sessions, twice a week over eight weeks. In the first stage of the RTI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eleven underachievers in a fifth-grade science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cond stag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to them based on the Direct Instruction(DI) method. During the interventions, three achievement tests and ten curriculum-based assessments were conducted.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 DI approac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nderachievers. The science underachievers showed a higher achievement level than the general students when a sincere attitude was indicated. Second, the RTI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ome of the science underachievers; although three of the eleven participants in the second stag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achiev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is closely related; science underachievers in the second stage were all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too. RTI has not been applied to mathematics classes; b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TI in science class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could contribute to the relief and determination of science underachievers.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2067.2013.17.4.004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3.17.4.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