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with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64 group homes by mailing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August 19th to September 13th, 2013. One hu...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5) Vol. 15; no. 5; pp. 327 - 339
Main Authors 박은미, Park, Eun-Mi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5.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05.3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with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64 group homes by mailing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August 19th to September 13th, 2013. One hundred seventy two adolescents were respond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had negative effect on school resilience. Second, their depression had also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Finally, self-esteem prov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감이 이들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8월 19일부터 9월 13일까지 전국 64개소의 공동생활가정에서 보호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총 172명이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은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우울감은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적응유연성에 대한 우울감의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17058945409
G704-001475.2015.15.5.019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5.15.05.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