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와 소수 관련 초등 예비 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

본 논문은 검사지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과 4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의 수업분석 및 면담을 통해 수업의 문제점을 찾고 예비 초등교사들의 PCK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와 소수 관련 PCK를 검사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와 소수의 PCK는 44.8%의 예비 초등교사들이 50점 미만의 점수로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교과 내용 지식, 학생 이해 지식, 교수 방법적 지식 순이었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수학교과 내용 지식과 관련하여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6; no. 1; pp. 197 - 229
Main Author 김현미, 류희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03.2012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2.16.1.19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검사지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들의 PCK 실태 분석과 4명의 예비 초등교사들의 수업분석 및 면담을 통해 수업의 문제점을 찾고 예비 초등교사들의 PCK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와 소수 관련 PCK를 검사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첫째, 예비 초등교사들의 분수와 소수의 PCK는 44.8%의 예비 초등교사들이 50점 미만의 점수로 전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교과 내용 지식, 학생 이해 지식, 교수 방법적 지식 순이었다. 둘째, 예비 초등교사들은 수학교과 내용 지식과 관련하여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은 잘 하였으나 왜 그렇게 계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와 개념, 수학적 용어에 대한 이해력은 낮게 나왔다. 셋째, 대부분의 예비 초등교사들은 분수와 소수의 다양한 의미를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제시하는 것에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단지 교과서에 있는 그림 모델만을 사용하여 지도하려고 하였다.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해 알아본 예비 초등교사들은 첫째, 분수와 소수에 대한 정확한 교과 내용지식이 부족하고 둘째, 학생들의 오류 수정에 관심과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셋째,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수업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했다. 예비 초등교사들의 PCK 신장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PCK 신장으로 연결될 것이다. 본 연구는PCK 신장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제고와 초임 교사들에 대한 연수의 필요성, PCK 신장을위한 수업 분석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he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nalyse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indicates: 1) the PCK of half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istered below 50%; 2) the results indicate that subject matter knowledge is the highest,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is in the middle, and pedagogic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he test scores; 3) student teachers try to teach algorithm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re more familiar with the problem solving algorithm than with the concepts of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4) the teachers do not seem to understand the various uses of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and 5) the teachers are not able to provide a variety of models when they attempt to teach the concepts to students. In conclusion, promising student teachers needs more PCK for fractions and decimal numbers, more interest in error correction for the students, and an ability to cope with the various unexpected difficulties that occur in the classroom.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on become teachers. PCK development for them is related to the PCK development of un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lay a fundamental role in suggesting improvements i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for the development of PCK, the necessity of study for unexperienced teachers, and research with respect to clas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PCK.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2067.2012.16.1.015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12.16.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