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막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서론: 신경초종은 슈반세포(Schwann cell)의 증식에 의해 발생되는 종양으로 안와에서 발생하는 종양 전체의 1%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 이다. 안구 내에 발생하는 경우, 주로 맥락막이나 모양체에 발생한다. 결막에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가 적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구결막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를 확진하고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요약: 5년 동안의 우측 구결막 종괴로 인한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한 31세 남자 환자로, 안과검사상 우안의 2시 방향 상비...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0; no. 7; pp. 1111 - 111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15.07.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서론: 신경초종은 슈반세포(Schwann cell)의 증식에 의해 발생되는 종양으로 안와에서 발생하는 종양 전체의 1%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
이다. 안구 내에 발생하는 경우, 주로 맥락막이나 모양체에 발생한다. 결막에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세계적으로도 보고된 바가
적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구결막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를 확진하고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요약: 5년 동안의 우측 구결막 종괴로 인한 이물감을 주소로 내원한 31세 남자 환자로, 안과검사상 우안의 2시 방향 상비측 윤부주
위 구결막에 표면이 매끈하고 경계가 분명하며 융기된 5×3×3 mm 크기의 황색 종괴가 관찰되었다. 진단 및 치료 목적의 절제생검을
시행하여 신경초종으로 확진하였다. Purpose: The schwannoma is a tumor originating from Schwann cell proliferation. Schwannoma is a rare disease, making up
only 1% of all the tumors that develop in the orbit. Schwannomas usually arise from the choroids or the ciliary body, and
occurrence in the conjunctiva is especially rare.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no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us far. We report our case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Case summary: A 31-year-old male patient visited our department with a history of discomfort of in his right eye for the past
5 years caused by a bulbar conjunctival mass. On ophthalmologic examination, a 5×3×3 mm, elevated, yellowish mass with
a smooth surface was observed on the bulbar conjunctiva adjacent to the superonasal limbus near the 2 o’clock area of the
right eye. We performed excision and biops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bulbar conjunctival mass and confirmed the
pathologic report for the diagnosis of schwannoma.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001025.2009.50.7.002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