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칼슘 주사량이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CaCl2 용액의 주사량이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꽃사슴, 레드디어 및 엘크 암컷 각 6두에 대해 30% CaCl2 용액의 주사량을 1ml�, 1.5ml� 및 2ml�의 3처리구로 나누어 전두골 좌, 우 양쪽 골막에 3월과 7월 두 차례 주사한 후 사슴뿔 발생 유도율, 사슴뿔 생산량, 발육성적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은 꽃사슴이 1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발생하였고, 레드디어는 2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유도되어 꽃사슴과 레드디어의 뿔 발생 유도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50; no. 3; pp. 407 - 416
Main Authors 김상우, 이승수, 최선호, 상병돈, 김영근, 상병찬, 서길웅, 문상호, Kim, Sang Woo, Lee, Seung Soo, Choi, Sun Ho, Sang, Byung Don, Kim, Young Geun, Sang, Byong Chan, Seo, Kil Woong, Moon, Sang 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축산학회 01.06.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429
2672-0191
2093-628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CaCl2 용액의 주사량이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꽃사슴, 레드디어 및 엘크 암컷 각 6두에 대해 30% CaCl2 용액의 주사량을 1ml�, 1.5ml� 및 2ml�의 3처리구로 나누어 전두골 좌, 우 양쪽 골막에 3월과 7월 두 차례 주사한 후 사슴뿔 발생 유도율, 사슴뿔 생산량, 발육성적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암사슴의 뿔 발생은 꽃사슴이 1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발생하였고, 레드디어는 2ml� 처리구의 한 마리 한쪽에서만 유도되어 꽃사슴과 레드디어의 뿔 발생 유도율은 8.3%였다. 엘크 암사슴은 1ml� 처리구에서는 뿔 발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1.5ml�와 2ml� 처리구에서는 모두 뿔 발생이 유도되어 유도율은 67%였다. 뿔 생산량은 꽃사슴의 경우 길이 21cm�이고 무게 70g 이었으며, 레드디어는 길이 18.5cm�에 무게 83g의 뿔을 생산하였다. 엘크는 3월 1.5ml� 처리구의 길이가 평균 34±3cm�이었고 무게는 526~1,008g이며, 2ml� 처리구는 길이가 평균 39±8cm�, 무게는 693~1,379g의 범위에 있었다. 엘크의 2ml� 처리구는 7월에 주사한 것이 뿔 길이와 뿔 생산량에서 3월의 것보다 적었다. 암사슴 뿔의 발육은 엘크의 경우 주사 후 20일경에 길이 0.5~1cm� 정도의 돌기로 자랐고, 40일까지는 유발된 상처와 함께 1~3cm�정도의 완만한 성장을 보였다. 본격적인 성장은 처리 후 60일경이 지나야 일어났고, 120일경에 절각을 하였을 때 뿔 길이는 28~44cm�의 범위에 있었다. 생산된 암사슴 뿔을 세로로 절단하였을 때 전체 길이의 위쪽 70%는 골화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는 번식성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봄에 처리한 사슴의 재생 뿔 발생은 불규칙하게 일어났고, 재생 뿔 발생률은 평균 45%였으며, 주기가 진행될수록 길이와 생산량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30% CaCl2 용액의 주사량을 조절하여 처리하면 꽃사슴, 레드디어 및 엘크의 암컷에서 뿔 발생을 유도할 수가 있으며, 엘크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를 위한 최적 주사량은 1.5~2ml� 범위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816049040749
G704-000216.2008.50.3.013
ISSN:1598-9429
2672-0191
2093-6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