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비동기 오차를 고려한 다중 DME 측위 적용 방안 연구

This paper introduces the time-misalignment error between multiple range measurements acquired by an onboard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DME) interrogator and proposes an efficient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that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time-misalignment error. The introduced 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 19; no. 6; pp. 534 - 543
Main Authors 최광호, 임준후, 유원재, 소형민, 이형근, Choi, Kwang-Ho, Lim, Joon-Hoo, Yoo, Won-Jae, So, Hyoungmin, Lee, Hyung-Ke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항행학회 0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026
2288-842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paper introduces the time-misalignment error between multiple range measurements acquired by an onboard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DME) interrogator and proposes an efficient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that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time-misalignment error. The introduced time-misalignment error does not occur in conventional utilization of DME combined with VHF omnidirectional range (VOR). The propose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projects all the DME range measurements acquired irregularly during an interval to the same time instance where the aircraft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simulation utilizing a representative aircraft trajectory, it i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horizontal position accurately without any changes of ground DME facilities.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DME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지상국에 대한 거리 측정치들을 결합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시각 비동기 오차를 소개하고 이를 대비한 위치 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소개된 시각 비동기 오차는 한 개의 DME와 한 개의 VOR (VHF omnidirectional range)을 활용하는 기존의 위치 결정 방법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오차요인이다. 제안된 방법은 항공기의 속도벡터를 이용하여 동기화 되지 않은 다수의 임의 시점의 DME 거리 측정값들을 위치 결정 시점으로 투영하는 원리를 활용하였다. 한 개의 대표적 궤적을 활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을 활용할 경우 이미 구축되어진 DME 인프라의 변경 없이 다수의 DME를 활용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높은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503334698837
http://dx.doi.org/10.12673/jant.2015.19.6.534
G704-001706.2015.19.6.005
ISSN:1226-9026
2288-8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