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본 연구는 수원정신보건센터를 방문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1)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정서 행동상의 문제들에서 양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2)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 행동상의 문제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남자가많았으며 개인 스마트폰 소유, 사용시간 등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군에서 위축, 우울/불안, 신체화 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마트폰은 통화기능 외에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취향에 따른 다양한 응용프로그...
        Saved in:
      
    
          | Published in | Singyŏng chŏngsin ŭihak Vol. 53; no. 5; pp. 320 - 326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9.09.2014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015-4817 2289-0963  | 
| DOI | 10.4306/jknpa.2014.53.5.320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수원정신보건센터를 방문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1)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정서 행동상의 문제들에서 양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2)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 행동상의 문제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과다사용군이 대조군에 비해 남자가많았으며 개인 스마트폰 소유, 사용시간 등이 유의미하게 많았다.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군에서 위축, 우울/불안, 신체화 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스마트폰은 통화기능 외에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취향에 따른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어 나이가 어린 소아, 청소년의 경우 사용조절이 어려워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폰 중독에 취약한 아동에 대한 학교와 가정에서의 주의 깊은 관찰과 조기 진단 및 예방과 관련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us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use and addiction.
Methods Children referred to a community based pediatric mental health center were screened for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ed problematic behavior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Result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usage time, ownership, and internalization symptoms (somatization, anxiety/depression, withdrawal) were observed between the smartphone excessive use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Variants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were usage time, internalization problems somatization, anxiety/depression, withdrawal, aggressive behavior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n association of addiction tendenc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internalization symptoms. Close observation in the familial and academic setting may be important for children at high risk for smartphone addiction. KCI Citation Count: 24 | 
|---|---|
| Bibliography: | http://jknpa.org/ G704-001050.2014.53.5.003  | 
| ISSN: | 1015-4817 2289-0963  | 
| DOI: | 10.4306/jknpa.2014.53.5.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