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 봉합고정술에서 단측과 양측 지지부 고정법의 단기적 임상성적 비교
목적: 공막 봉합고정술에서 두 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의 단측 지지부 고정법과 양측 지지부 고정법의 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른 단기적 임상 성적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외상이나, 망막의 문제로 시력호전을 기대할 수 없는 환자를 제외하고 두 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사용하여 본원에서 공막 봉합고정술을 시행한 25명 26안을 대상으로 한쪽 지지부만 고정한 수술법(11안)과 양쪽 지지부를 모두 고정한 수술법(15안)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수술 전후 시력, 굴절 오차, 술 전 인공수정체...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5; pp. 742 - 75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5.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공막 봉합고정술에서 두 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의 단측 지지부 고정법과 양측 지지부 고정법의 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른 단기적 임상 성적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외상이나, 망막의 문제로 시력호전을 기대할 수 없는 환자를 제외하고 두 개의 지지부를 가진 인공수정체를 사용하여 본원에서 공막 봉합고정술을 시행한 25명 26안을 대상으로 한쪽 지지부만 고정한 수술법(11안)과 양쪽 지지부를 모두 고정한 수술법(15안)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수술 전후 시력, 굴절 오차, 술 전 인공수정체 이탈 정도, 수술 시간 및 술 후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전 인공수정체의 중심 이탈 정도는 단측 고정법을 시행한 군과 양측 고정법을 시행한 군에서 각각 2.73 ± 2.88 mm, 4.59 ± 2.18 mm로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시력, 굴절력 차이가 거의 없었고 통계적 유의성도 없었다. 수술시간은 각각 65.00 ± 22.69분, 93.66 ± 29.54분으로 단측 고정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20). 술 후 결과에서 두 군 모두 술 전에 비해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은 유의한 상승을 보였고(p<0.01), 술 후 굴절 오차와 술 후 인공수정체 중심 이탈 정도에 대한 값은 차이가 거의 없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공막 봉합고정술에서 두 가지 수술법을 비교한 결과 수술 후 단기적 임상결과 및 합병증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시간이 짧아 환자의 불편을 적게 하는 단측 고정법이 있음을 고려해 볼 수 있다. Purpose: To compare the short-term clinical outcomes of transscleral fixation intraocular lens (IOL) with two haptics or one haptic.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6 patients with transscleral fixation of IOL (11 with one-haptic fixation, 15 with two-haptic fixation) except in patients whose visual acuity is not expected to improve due to retinal problems or ocular trauma. We analyzed the manifest refraction,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preoperative IOL decentration, operating tim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preoperatively, the mean lens decentration in the one-haptic group was 2.73 ± 2.88 mm and 4.59 ± 2.18 mm in the two-haptics group. The decentration in the two-haptic group was greater than in the one-haptic group, but not significantly.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pow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mean operation time (minutes) was 65.00 ± 22.69 and 93.66 ± 29.54 in the one-haptic and two-haptic groups, respectively. The operation time in the one-haptic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in the two-haptic group (p = 0.020). When comparing visual acuity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p < 0.01). However, refractive error and postoperative IOL decentration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short-term surgical results of transscleral fixation using the two surgical techniques were not different; one-haptic transscleral fixation was preferred due to shorter operation time and lower patient discomfort.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6.57.5.014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