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프로모션 노출이 영화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봉준호의 <설국열차, 2013>에 대한 관람 동기와 관여도를 중심으로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exposure to movie-promotion activities offered by a movie-maker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viewing it.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individuals' motive for viewing a movie and personal involvement with it have an effect on their satisfa...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12) Vol. 13; no. 12; pp. 92 - 10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2.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12.092 |
Cover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exposure to movie-promotion activities offered by a movie-maker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viewing it.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individuals' motive for viewing a movie and personal involvement with it have an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of viewing it. The data from nationwide survey with a stratified sampling were analyzed (N = 451). This study found that (1) The more frequent exposure to movie-promotion activities,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a movie; (2) The stronger motive to view a movie,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it; (3) The higher involvement with a movie,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it; (4) In the strong motivated group and the high involved group,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exposure to the movie promotion activities is effective for individuals' satisfaction of viewing it.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화 프로모션 노출이 관객의 영화 이용 충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 <설국열차>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 프로모션에 대한 관객의 노출 빈도, 영화에 대한 관람 동기, 일반적인 영화에 대한 관여도 등의 변인이 영화에 대한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별, 학력별, 지역별 비례할당(proportionate allocation) 방식에 근거해 전국적으로 표본을 수집해 이메일 설문조사(N = 451)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설국열차>에 대한 프로모션 노출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동기가 강할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커졌다. 셋째, 영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커졌다. 넷째, <설국열차>에 대한 프로모션 노출의 빈도는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동기가 강한 집단과 영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서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현실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02255801687 G704-001475.2013.13.12.086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13.13.12.0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