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 향상을 위한 해양캠프 프로그램의 적용: 2004~2012년
In order to enhance scientific interest and a sense of affinity about ocean, the programs of the oceanic camp 'oceanic summer scho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4^{th}$ and $9^{th}$-gra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9 years from 2004 to 2012. It was composed of oceanic tr...
Saved in:
Published in | Pada (Hanʼguk Haeyang Hakhoe) Vol. 18; no. 3; pp. 142 - 161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해양학회
01.08.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978 2671-8820 |
Cover
Summary: | In order to enhance scientific interest and a sense of affinity about ocean, the programs of the oceanic camp 'oceanic summer scho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4^{th}$ and $9^{th}$-gra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9 years from 2004 to 2012. It was composed of oceanic training for snorkeling, a tour to oceanic institutes and museums near the camp academy place, experimental learning in oceanic-related field, field trips for ocean and earth sciences, and lectures on various subjects of ocean.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9-kinds of inquiry surveys to evaluate chang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ocean literacy of students participated at the present oceanic summer camp.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est, inquisitiveness, passion, and so on, were enhanced. Analysis of ocean literacy revealed that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ere increased by 40%. We presented parents' responses on the programs of oceanic summer school. Some students with less initial interest of ocean have positively changed to make up their minds to be a oceanographer in several years later. In light of this, the summer school can be evaluated to be successfully functioned as a long-term support system for potentially young-talented students in the field of ocean science. This study addresses that long-term implementation of the summer oceanic camp may trigger students with potential talent toward in-depth science in the near future even though it could not bring positive effect immediately. This addresses the necessity of policy supports in order that various programs like the scientific camp should be more constructively developed and executed for next-generation manpower in oceanographic fields. 해양에 대한 관심과 친근감을 함양하기 위하여 해양캠프 '여름바다학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년 동안 4학년에서 9학년까지 초등 및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여름바다학교의 프로그램은 스노클링 해상 훈련과 인근 해양관련 연구소 및 박물관 견학활동, 해양 관련 각종 체험 학습, 해양 및 지구과학 관련 야외답사 활동, 그리고 해양에 관한 다양한 주제의 강연으로 구성되었다. 본 해양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의 정의적 및 인지적 특성 변화 및 해양학적 소양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9가지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여름바다학교 시행 후 정도의 차이는 보이나 모든 학생들이 해양에 대한 흥미, 호기심, 열정 등 정의적 특성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13가지 소양 항목으로 분석한 해양에 관한 인지적 특성도 40%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바다 학교에 대한 학부모들의 반응도 조사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초기에는 전공분야로서 해양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던 몇몇 학생들이 수 년이 지난 후 앞으로의 전공 분야로 해양학을 선정한 사례도 발견되었다. 이는 해양캠프 활동이 해양 분야의 잠재적 과학영재의 지원 체계로서 성공적인 기능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여름 해양캠프 활동의 장기 수행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잠재적 능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가까운 미래에 발현하게 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이는 차세대 해양 인력 양성을 위해 과학 캠프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좀 더 발전적으로 개발되고 수행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326940560843 G704-000255.2013.18.3.004 |
ISSN: | 1226-2978 2671-8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