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0.3%, 0.6%, 0.9%)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H, color, TBARS,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pH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46; no. 5; pp. 849 - 858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축산학회
01.10.200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
Cover
Summary: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0.3%, 0.6%, 0.9%)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pH, color, TBARS, residual nitrite content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he pH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to those for control. The CIE $L^*$ and $a^*$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tended to similar to control, but the CIE $b^*$ valu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The TBAR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0.9%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those of control at 20, 40 and 60 days of storage. The residual nitrite content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compared to control. The hardness values of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ut the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gumminess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in the sausage containing citron peel powder.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유자과피 분말을 각각 0.3%, 0.6% 및 0.9%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H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값을 나타내었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명도와 적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0.6%와 0.9% 첨가 소시지보다 명도 값은 현저하게 높았다. 황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도 값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1일에는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소시지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20일 이후에는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방산화도 값을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직특성에서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는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값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응집성, 탄력성 및 점착성(뭉침성)은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다. 이상에서,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한 유화형 소시지는 pH, 색도, 조직특성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지연시키고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0416049040842 G704-000216.2004.46.5.001 |
ISSN: | 1598-9429 2672-0191 2093-62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