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카야수 동맥염과 동반된 망막분지동맥폐쇄

목적: 타카야수 동맥염은 주로 대동맥과 그 주 분지를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여러 가지 안소견이 동반될 수 있으나 망막분지동맥폐쇄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이러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3세 여자 환자가 내원 2시간 전 우안의 하측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을 느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양안 모두 1.0으로 측정되었다. 전안부 및 동공반사에서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안저 검사에서 우안 상측 망막이 창백하게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등 보조적 검사를 통해 우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8; pp. 1312 - 1315
Main Authors 임재완(Jae Wan Lim), 이승욱(Seung Uk Lee), 이상준(Sang Joon Lee), 남기엽(Ki Yup Na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30.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378-6471
2092-937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타카야수 동맥염은 주로 대동맥과 그 주 분지를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여러 가지 안소견이 동반될 수 있으나 망막분지동맥폐쇄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이러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3세 여자 환자가 내원 2시간 전 우안의 하측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을 느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시력은 양안 모두 1.0으로 측정되었다. 전안부 및 동공반사에서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안저 검사에서 우안 상측 망막이 창백하게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등 보조적 검사를 통해 우안 망막분지동맥폐쇄로 진단한 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과거력상 20년 전 타카야수 동맥염을 진단 받고 내과적으로 경과 관찰하던 환자로 내원 시 38.7℃의 발열과 전신 쇠약감이 동반되어 있었고 혈액검사에서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eactive protein 등의 염증 관련 수치가 증가하여 동맥염의 재발로 판단하고 내과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발병 3개월째 우안 망막의 창백은 소실되었으나 시야는 초진 시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결론: 타카야수 동맥염에서 분지망막동맥폐쇄가 동반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드물지만 두 질환의 연관 가능성에 대해서 인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akayasu’s arteritis generally involves the aorta and its main branch. Various ocular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have been reported, but branch retinal artery occlusion (BRAO)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BRAO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Case summary: A 53-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t emergency room for an inferior visual field defect of the right eye that had presented 2 hours earlier. Visual acuity was 1.0 in both eyes. There were no abnormalities of the anterior segment or pupil reflex. On fundus examination, superior retinal whitening was observed in her right eye. Through ancillary study includ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fluorescein angiography, she was diagnosed with BRAO and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s. She had received previous treatment and had been followed-up for Takayasu’s arteritis for 20 years. She complained of general weakness, and body temperature was 38.7°C. On blood analysis,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were increased compared to previous levels. She was medically treated on the assumption of relapse of Takayasu’s arteritis. After 3 months, the retinal whitening in her right eye was resolved, but the visual field defect remained similar to that at the initial visit. Conclusions: We report this rare case of BRAO associated with Takayasu’s arteritis, indicating the need to consider an association between the two diseas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1025.2016.57.8.015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