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 관광객의 공연 관람 의도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gree of intention-behavior gap in the entertainment tourism. Using the sample of international visitors to South Korea, we identified the inclined actor (who are interested in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and actually went to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and inclined...
Saved in:
|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11) Vol. 15; no. 11; pp. 550 - 558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11.201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15.15.11.550 |
Cover
|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gree of intention-behavior gap in the entertainment tourism. Using the sample of international visitors to South Korea, we identified the inclined actor (who are interested in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and actually went to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and inclined abstainer (who are interested in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but did not go to the entertain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sample was more accurately classified when attitude and knowledge on K-entertainment were included as explanatory variables. More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의 공연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해외 공연 관광에 있어 의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의도와 행동 간 차이를 줄이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공연 관람 의도가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관람군(실제로 관람한 사람)과 잠재군(실제로 관람하지는 않은 사람)으로 분류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람 의도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태도와 지식 요인이 공연 관람의도와 행동 간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광객의 공연에 대한 지식 요인이 투입될 경우 태도 요인만 고려할 경우보다 관람군과 잠재군의 집단 간 분류 정확도가 높아져, 태도요인 뿐 만 아니라 지식요인도 관람 의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535258425457 G704-001475.2015.15.11.023 |
| ISSN: | 1598-4877 2508-6723 |
| DOI: | 10.5392/JKCA.2015.15.11.5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