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의 수학학습부진아(5학년 12명)를 대상으로 이들이 실측과 관련해서 보이는 오류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오류를 개선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탐색해본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수학에서 ‘측정’ 영역은 ‘수와 연산’, ‘도형’ 영역에 비해 학습부진아의 선별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오류 개선 지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 직접비교 이후 수학적 의미에서의 측정이 시작되는, 단위를 사용한 실측 능력을 중심으로 여기서 비롯되는 오류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곧, 실측 능력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양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과교육학연구 Vol. 13; no. 4; pp. 717 - 736
Main Author 주영희, 김성준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12.2009
교과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09.13.4.7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의 수학학습부진아(5학년 12명)를 대상으로 이들이 실측과 관련해서 보이는 오류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오류를 개선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탐색해본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수학에서 ‘측정’ 영역은 ‘수와 연산’, ‘도형’ 영역에 비해 학습부진아의 선별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오류 개선 지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측정’ 영역에서 직접비교 이후 수학적 의미에서의 측정이 시작되는, 단위를 사용한 실측 능력을 중심으로 여기서 비롯되는 오류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곧, 실측 능력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양감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측능력과 양감에서 낮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습부진아들이 결국 측정 영역 전반에서 요구되는 단위의 사용과 단위 간의 환산, 단위를 포함한 연산 등에서 계속해서 어려움을 경험한다는데 주목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측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길이와 각의 실측 지도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실측 환경을 마련하여 초등학생들의 실측 능력을 향상시키고 양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측정 영역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측정’ 영역의 학습․지도 방안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nderachieving students' error factors in the measurement domai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to help improve their measuring abilities. In general,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examining error analysis in the measurement domain as compared to number & operation domains and figure domains.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asuring ability and feelings of massiveness. Measurement using units are taught begin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hus this activity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ing various units, conversion of units, and operation of units. The other objects of this study were to think about the relation between measuring ability and feelings of massiveness. According to this study, underachieving students' feelings of massiveness is in proportion to their measuring ability. In other words, the underachieving students' feelings of massiveness was very low compared with other students. This low achievement had an effect on the overall learning in the measurement domain. In order to point out these problems and to improve these errors, this study set up three subject matters: first,we analyzed the types of underachiever's errors in measurement domain and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measuring ability and feeling of massiveness; second, we reconstructed teaching contents to correct their errors in the measuring of length and angle; and third, we prepared the measuring settings to continue length measuring and angle measuring. From this study, we expect to propose teaching methods to help underachieving students' errors in the measurement domain and to explain their failures in the leaning of measurement domain (length measuring and angle measuring). KCI Citation Count: 8
Bibliography:G704-002067.2009.13.4.004
ISSN:1975-3217
2671-8324
DOI:10.24231/rici.2009.13.4.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