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내 철근 부피 공제가 물량산출에 미치는 영향

Reinforced Concrete is the most dominant structure type for buildings in South Korea. Reinforced Concrete is one of materials having the most cost and quantity at construction projects. It is important to manage concrete quantity so that the total project cost is not affected due to underestimate o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3(6) Vol. 13; no. 6; pp. 24 - 32
Main Authors 황경훈, 김성아, 진상윤, Kang, Jong-Min, Kim, Seong-Ah, Chin, Sang-Yo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11.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2.13.6.0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Reinforced Concrete is the most dominant structure type for buildings in South Korea. Reinforced Concrete is one of materials having the most cost and quantity at construction projects. It is important to manage concrete quantity so that the total project cost is not affected due to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of its quantity. Generally the concrete quantity is taken-off based on the volume of the space inside forms without subtracting volumes of rebar embedded, which cannot be considered to make quite accurate results. Resource waste and extra cost due to over or under estimate of quantity occur since they cannot estimate accurate quantity at practic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olume for rebars embedded in reinforced concrete members. By comparing the quantity based on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one from BIM data, it was found that about 1~2% of quantity discrepancy was observed while the typical concrete waste rate is 1 % at the current practice. 철근콘크리트는 건축공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구조형식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물량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많은 비용과 물량을 차지한다. 콘크리트 물량은 전체 공사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물량 부족과 과잉으로 인해 전체 공사비가 변동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물량은 거푸집 내 철근의 부피를 공제하지 않고, 거푸집 내 전체 부피로 계산한다. 이는 거푸집 내 설치되는 철근의 부피를 공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콘크리트 물량이라고 할 수 없다. 실제 건설 현장에서도 정확한 물량을 산출하지 못하여 물량 과잉과 부족으로 인해 자원낭비와 추가비용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콘크리트 물량오차의 원인 중에 하나인 철근 부피 공제가 콘크리트 물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BIM기반 물량산출을 통해 철근 부피를 공제한 콘크리트 물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1~2%의 물량차이는 기존 콘크리트의 자재 할증 1%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201052160249
http://www.auric.or.kr/user/listview/kicem2010/cart_rdoc.asp?URL=files/kicemt_201211_005.pdf%3Fnum%3D289824%26db%3DRD_R&dn=289824&db=RD_R&usernum=1&seid=O_3WFJaUR6-RMSwj503470877
G704-001084.2012.13.6.004
ISSN:2005-6095
2465-9703
DOI:10.6106/KJCEM.2012.13.6.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