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 결석에 의한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인 1예
목적: 결막 결석에 의한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0세 남자 환자가 한 달 전 발생한 지속적인 좌안의 이물감, 통증 및 결막 충혈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세극등 검사에서 좌안 상부 안구결막의 충혈 및 이완, 상부 각막상피의 결손 및 띠모양의 각막혼탁이 관찰되었다. 상부 안검결막에서 다양한 크기의 결막 결석과 심한 염증이 발견되어 결막 결석의 기계적 자극에 의해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결석을 30게이지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7; no. 6; pp. 983 - 98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30.07.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378-6471 2092-9374 |
Cover
Summary: | 목적: 결막 결석에 의한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0세 남자 환자가 한 달 전 발생한 지속적인 좌안의 이물감, 통증 및 결막 충혈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세극등 검사에서 좌안 상부 안구결막의 충혈 및 이완, 상부 각막상피의 결손 및 띠모양의 각막혼탁이 관찰되었다. 상부 안검결막에서 다양한 크기의 결막 결석과 심한 염증이 발견되어 결막 결석의 기계적 자극에 의해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결석을 30게이지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으며 인공누액, 항생제, 스테로이드를 점안하였다. 치료 7일 후 상부 안구결막 충혈, 상부 각막상피의 결손, 미란 및 각막혼탁이 호전되었다. 이후 4개월간의 외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재발 및 특별한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으며 상부 각막에 약간의 혼탁 소견만 남았다.
결론: 심한 결막 결석의 기계적 자극은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윤부각결막염 양상을 보이는 환자를 진료 시에 결막 결석의 가능성을 고려하고 상부 안검결막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njunctival lithiasis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Case summary: A 40-year-old male complained of pain, foreign body sensation and injection in the left eye lasting 1 month. The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injection of the superior bulbar conjunctiva, linear corneal band opacity, fine punctate staining and epithelial defect in the superior cornea area. After eversion of the left upper eyelid, there were many various-sized conjunctional concretions and inflammation in the superior tarsal conjunctiva. Therefore, we considered conjunctival lithiasis-induced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and then removed the conjunctival concretions using a 30-gauge needle. After the procedures, artificial tears, antibiotic eye drops, steroid eye drops and a therapeutic contact lens were applied. After 1 week, all symptoms and signs improved and there was no recurrence for 4 months.
Conclusions: Mechanical stimulation by severe conjunctival lithiasis can induce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Therefore,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perior limbic keratoconjunctivitis, conjunctival lithiasis should be considered by observing the superior tarsal conjunctiva more closel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1025.2016.57.6.009 |
ISSN: | 0378-6471 2092-9374 |